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제출했다. 베이징팀은 올 1월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된 ‘제10차 국제 식물,
동물
및 미생물 게놈 학술대회’에서 벼 게놈 해독이 완료됐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안팎으로 압력을 받게 된 IRGSP가 게놈 해독 완료 이전에 중간단계로 2002년 말까지 초안을 발표하기로 결정한 것도 이 즈음이다.출발이 ... ...
바다로 내려간 고래의 성공비결은 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몸의 움직임을 조정한다. 육지에서 자유로이 생활하는 대부분의
동물
은 큰 반고리관을 갖고 있다. 그런데 현재 고래의 반고리관은 비슷한 크기의 육지 포유류에 비해 3배나 작다.연구팀은 육지에 살던 선조에서 최근 종류까지 여러 시기별 고래의 화석을 X선으로 단층 촬영해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일은 GM 작물 개발의 첫번째 접근이다. 이 과정은 종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식물뿐 아니라
동물
이나 미생물에서 식물체에 유용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것이다. 두번째 단계는 유용유전자를 작물에 대량으로 이식시키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전통 육종 방법을 이용해 생산성 등 농업형질을 크게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사람과 신체적 접촉을 가질 수도 없다. 그런데 삼엽충과 공룡, 포도나무 등 다양한
동물
과 식물, 시원한 바람과 흐르는 시냇물, 보리떡과 물고기 등의 삼라만상을 제각기 상관없는 다른 물질로 만든다면 엄청나게 많은 종류의 물질이 필요할 것이다. 전능한 신이라면 그리 못할 바도 아니지만, 물질의 ... ...
복제 고양이와 토끼 연이은 등장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아니었다”고 말했다. 더욱이 생리적 특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복제가 더 어려운
동물
이기도 하다. 박소장은“북한이 토끼 복제에 성공했다면 상당한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것”이라면서 선진국 수준에 도달한 중국의 생명공학기술이 북한에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완전히 허황된 얘기가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텃세와 관련지어 홈어드밴티지를 설명했다. 테스토스테론은
동물
의 경우 지배력, 자신감, 공격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홈경기에서 선수들은 자기 영역을 지킨다고 느끼는 것이다. 특히 골키퍼는 수비와 가장 관련되기 때문에 그 수치가 급격하게 높아졌다고 한다.이번 ... ...
왜 화석을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그 암석에 들어있는 화석의 내용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현재이 원리는‘
동물
군 천이의 법칙’(law offaunal succession)이라고 불리며 현대 지질학이 태동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지구의 역사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바로 이 정보를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점이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존 허치슨과 마리아노 가르시아는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동물
의 다리 근육 크기를 달리기 속도와 관련지어 비교·연구했다. 닭의 경우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을 만큼 다리 근육이 충분히 존재하는 반면, 악어의 경우 달릴 수 있을 정도의 다리 근육이 존재하지 않는다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속에 항원인 마약 성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항체를 얻기 위해서는
동물
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엑스터시의 경우에는 양이나 염소에게 엑스터시를 먹여 만들어진 항체를 이용한다. 면역반응측정법은 수십명의 소변을 동시에 검사해 1-2시간 안에 복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 ...
현실 속의
동물
상상 속의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자연의 벗들이 어느날 모두 우리 곁에서 떠나버린다면 이 땅은 얼마나 삭막한 곳이 될까.
동물
들이 살 수 없는 땅에서는 인간도 살 수 없다는 진리를 깨닫는게 그리 어려운 일이아님을 느낄 수 있다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