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어 게놈지도 공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사실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서는 뒤엉켜 있지만 인간과 함께 공통 척추
동물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도 상당수 보존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뇌를 추론해 보는 방법을 자주 이용한다.인간의 뇌를 연구하기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는
동물
은 파리다. 파리의 뇌 신경세포는 약 105개에 불과하다. 인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단순하다. 그러나 파리는 이 작은 뇌를 갖고도 지구에 잘 적응해 성공적으로 살아왔다. 파리와 인간의 뇌 ... ...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넘기기 어렵고 장수의 대명사인 거북이도 길어야 2-3백년이 고작이다. 그러나 나무는
동물
보다 열배는 더 오래 사는 지구의 최장수 생물체다.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의 화이트마운틴에는 브리슬 콘 소나무(Bristle cone pine)라 부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가 있다. 1964년 연구목적으로 이 나무를 ... ...
다윈의 진화론 반박하는 새 이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박사는 1970년대 말 고세균의 정체를 밝힌 바 있다.고세균은 박테리아 같은 원핵세포와
동물
이나 식물 같은 진핵세포와는 또다른 유형의 생명체다. 고세균은 최근 미생물 게놈연구에 힘입어 그 비밀이 조금씩 벗겨지기 시작했다.새로운 진화론의 핵심은 ‘수평적 유전자 전달’(horizontal gene transfer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보자.자연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불가능했던 시절, 우리 조상들은 피나 심장을 먹는 식으로
동물
을 자신의 몸에 받아들이면 그 힘까지 얻을 수 있다는 미신을 가졌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서면서 경험과 이성적 사고가 중시되기 시작했고, 점점 미신들은 사람들로부터 배척 당하면서 영영 사라지는 ... ...
다윈의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좀더 구체적인 학설이 제기됐다. 그 대표적인 예가 1809년 라마르크(J.B.Larmark)가 발표한 ‘
동물
학’과, 이후 소위 용불용설로 불리는 획득형질의 유전에 대한 그의 이론이다.다윈의 진화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사상 중 하나는 맬서스(T.R.Malthus)의 ‘인구론’이다. 다윈은 이 책을 통해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제어되고, 이 신경망은 개체의 발생과 학습 그리고 종족의 진화를 통해 획득된다. 따라서
동물
의 이런 행동 패턴을 모방하면 환경에 따라 자율적 행동을 취할 수 있는 로봇 제어기를 만들 수 있다. 로봇 내에 설치된 인공신경망 구조는 미지의 환경에 부딪힐 때마다 적당한 행동패턴을 취하게 한다.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 점이 바로 전통적인 방법이 따라올 수 없는 유전공학의 혁신적인 면이다.실제로
동물
의 유전자를 이용한 작물로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는 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이식시킨 담배가 개발됐다. 이 담배를 통해 아드레날린 호르몬을 생산해내는 것이다.미생물의 DNA가 이용된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덜 이용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마이어는 먹은 음식을 피 속 산소로 산화함으로써
동물
이 열을 얻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음식 섭취로부터 얻은 화학에너지가 사람의 움직임에 대한 운동 에너지와 체온유지를 위한 열에너지로 전환된다고 생각 했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보존된다고 ... ...
3. 진화생물학 받아들이는 성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없다. 인간과
동물
은 동일하며, 따라서 지구라는 전체 시스템을 파악하는데 인간은
동물
과 하등 다를 바 없다. 다만 인간은 이성이라는 뛰어난 능력을 가졌으므로 전체 시스템에 대한 책임의식이 조금 더 많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이런 점은 인간이 합리적 통제와 예측을 통해 주어진 상황을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