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스페셜
"
물리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억만장자 브랜슨은 정말 우주 다녀온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8.5km 지점이 실제 우주인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도 있다. 지구와 우주의 경계는 헝가리
물리
학자 시어도어 폰 카르만이 지구의 대기가 옅어지며 항공기가 날지 못하는 높이를 처음으로 계산하고 고도 100km를 지구와 우주의 경계로 설정했다. 국제항공연맹(FAI)은 이 기준에 따라 고도 100km를 이른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이산화탄소 배출 줄었지만 여전한 지구온난화
2021.07.12
in the post-COVID-19 era. Nature Climate Change, 11, 197-199. 글 이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
물리
연구단 연구위원‧부산대 교수 ※ 원문 출처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지난해에 이어 사스코로바이러스-2(SARS-CoV-2)의 과학적 이해와 극복 방안 모색을 위한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2’를 ... ...
과학자 21명 “코로나 기원 실험실 유출설 근거 희박”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골드스타인 미국 유타대 교수 등이 참여한 21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리뷰 논문은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가 운영하는 범용 오픈 액세스 사이트(Zenodo)에 지난 7일(현지시간) 공개됐으며 아직 과학 저널에 발표되지는 않았다. 과학자들은 감염병이 시작되기 2년 전 중국 우한 시장에서 사향고양이와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빛의 속도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을 썼고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
물리
의 정석》 을 옮겼다. 한국일보에 《이종필의 제5원소》를 연재하고 있다. ... ...
[과학게시판] ‘나노코리아 2021’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최신 연구성과와 다양한 첨단 응용제품을 선보이는 국제행사다. 올해 행사에서는 노벨
물리
학상 수상자 등 나노 석학들이 강연을 진행하며 국내 대표 대중소기업과 주요 연구소 등이 전시회에 참여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2021년 ... ...
[이덕환의 과학세상]마침내 식품첨가물공전이 개정됐다
2021.07.07
‘천연’과 ‘합성’(인공)의 구분은 세계 어디에서도 쓰지 않는다. 화학물질의
물리
적·화학적 특성이 천연과 합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에게 ‘천연은 건강에 좋고, 합성은 나쁘다’는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이유도 없다. 오히려 생산 과정에서 정제가 쉽지 않은 천연 ... ...
별 집어삼키는 블랙홀, 별 만들기도 한다
과학동아
l
2021.07.05
수 있도록 도운 것이다. 연구를 이끈 이그나시오 마틴 나바로 스페인 카나리아 천체
물리
학연구소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블랙홀과 은하 사이의 상호작용을 밝히는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 ...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 1.35배 '극단적' 백색왜성 확인
연합뉴스
l
2021.07.01
하와이 W. M. 켁 천문대와 외신 등에 따르면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의 천체
물리
학자 일라리아 카이아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30광년 떨어진 곳에서 관측된 백색왜성 ZTF J1901+1458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이 백색왜성의 지름은 약 4천272㎞로 ... ...
[랩큐멘터리]다양한 자극에 변신하는 궁극의 반도체 소재를 꿈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기술개발을 위해 전 세계 기업이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의 선폭을 줄이는 기술은
물리
적 한계에 부딪혀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이유다. 정대성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고분자 전자재료 연구실은 전자재료를 설계하고 합성해 응용하는 분야를 ... ...
블랙홀이 중성자별 먹어치웠다…블랙홀과 중성자별 충돌로 생긴 중력파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 20여 명이 논문에 이름을 올렸다. 이형목 KGWG 단장(서울대
물리
천문학부 교수)은 “검출기 데이터를 분석할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무수히 발생하는 가짜 신호를 걸러내는 작업을 했다”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터도 투입돼 소프트웨어 성능시험 등에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