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스페셜
"
덕분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재출간됐다. 이 책을 보면 오늘날 지구가 이처럼 아름다운 행성이 된 건 시아노박테리아
덕분
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시아노박테리아 등장 전까지 지구에 바다는 있었지만 육지는 황무지였고 대기에는 산소가 거의 없었다. 그 결과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미생물들만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런데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과민반응이 억제되는데, 이를 경구 면역 관용(oral tolerance)이라 한다. 이 경구 면역 관용
덕분
에 우리는 안심하고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재조합 유전자 기술로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많이 만든 뒤 쥐에게 이를 먹이면, 면역세포인 T세포를 억제해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 생성을 막는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저서 ‘인체 해부학(Corporis Humani Anatomia)’이다. 인류의 이족보행은 잘 발달된 아킬레스건
덕분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걷고 달리고 뛰어오르는 게 모두 강력한 아킬레스건이 뒷받침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다른 유인원들은 아킬레스건이 보잘 것 없고 따라서 두 다리로 걷고 뛰는 게 편할 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당 대사 관련 유전자가 발현해 벌레를 유인하는 달콤한 액이 나오고, 왁스 생합성 유전자
덕분
에 포충낭 위 테두리와 안쪽 면이 미끄러워져 곤충이 중심을 잃고 빠진다. 한편 병 발생 관련 유전자는 변이가 일어나 소화효소로 기능이 바뀐 것으로 밝혀졌다. 속씨식물의 진화과정에서 여러 차례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지 가늠해 볼 수 있다. - 위키미디어 제공 ● 아름다운 빛깔을 뽐내는 이유는 박테리아
덕분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이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명소로 떠오른 데에는 분명 아름다운 빛깔을 뽐내는 온천이라는 이유도 있을 겁니다. 온천 한가운데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수심이 깊은 탓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전극을 만들 때 탄소나노튜브를 섞어주면 이런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다. CNT
덕분
에 표면적이 넓어지고 전기전도도가 커져 리튬이온이 빨리 자리를 뜨거나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전극의 강도도 커져 충전, 방전 사이클을 반복할 때 생기는 스트레스(열, 변형 등)에 더 잘 견딜 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한 명이다. “내가 감옥에서 생을 마치지 않을 수 있었던 건 버만과 그의 동료들
덕분
이다. KGB의 집요한 방해공작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마침내 소련을 떠나도 된다는 허가를 얻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큰 규모로 2000년 완공됐다. 16개국 430명의 과학자들이 모여 있는 피에르아우거관측소
덕분
에 아르헨티나의 기초과학이 큰 힘을 얻었다. 관측소가 입주한 지역인 말라그에는 그의 이름을 딴 고등학교도 세워졌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뜻한다. 즉 한 번에 한 종씩 게놈을 분석하는 게 아니라 한꺼번에 다 분석할 수 있는 기술
덕분
에 가능한 분야다.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들을 모아 또 분석하는 메타분석 논문도 부쩍 늘었다. 생태학에도 메타개체군(metapopulation)이란 용어가 있다. 한 서식지를 차지하고 상호작용하는 동종 개체들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깊어 원래 과학자 생활을 좀 일찍 접고 스튜디오를 차릴 계획이었다. 그러나 풀러렌
덕분
에 유명인사가 되면서 제 2의 인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크로토는 1964년 선데이타임스 책표지 공모전에 수상하기도 했고 그 뒤 틈틈이 반(半)직업 삼아 그래픽 작업을 했다. 그 결과 포스터, 책표지 등 다양한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