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스페셜
"
덕분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공간에서 실제 털이 차지하는 부피는 3%에 불과하다. 나머지 97%는 공기인데, 이런 구조
덕분
에 단열(보온)이 잘 돼 겨울에도 체온을 잃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대신 혀로 핥을 때는 털이 쉽게 눌려 털층의 두께가 평균 37㎜에서 불과 1.2㎜로 줄어든다. 그 결과 길이 2.3㎜인 돌기가 피부까지 닿고 침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안타깝게 하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은 워낙 유명한 단장
덕분
에 한때 IBS의 얼굴마담이라고 할 정도로 잘 나갔지만, 지난해 10월 6일 찰스 서 단장이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하루아침에 찬밥 신세가 됐다. 급기야 지난 10월 15일 연구단 폐쇄가 결정됐다. 리더를 잃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38%나 작지만 다 막혀 있어 단면적은 74㎟에 이른다. 민들레 씨앗은 공극률이 큰 갓털 구조
덕분
에 저항계수가 네 배 이상이 돼 훨씬 경제적인 구조가 됐다. 그렇다면 민들레 씨앗은 어떻게 엉성한 필라멘트 다발로 이처럼 종단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었을까. 하늘을 나는 게 아니라 헤엄치는 것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인사를 올리러 다니는 사람도 있습니다. 성묘를 하느라 선산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덕분
에 전국 고속도로는 꽉 막히고, 기차표는 몇 달 전부터 동이 납니다. 평소에 가족을 만나면 한가하고 좋을 텐데, 일이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큰 집에 모여 친지와 재회하고 서로의 관계를 확인합니다. 같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모르겠다. 특히 ‘남’이 한 것이라면 더더욱. 내가 잘 한 일은 나의 노력과 재능
덕분
(내적 귀인)이지만 타인이 잘 한 일은 단지 ‘운이 좋아서’(외적 귀인)라고 생각하는 경향은 실제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서 ‘근본적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라고 불리기도 한다. 놀란 어깨로 인해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목을 축이는 새와 눈이 마주쳐요. 제가 새 연구자가 된 것도 다 이런 자연환경
덕분
이죠.” ‘꾸룩새’는 소쩍새와 수리부엉이 같은 올빼미과 새들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꾸룩새연구소 뒷산에는 몸길이가 68cm나 되는 아주 큰 수리부엉이도 살고 있다. 70세가 넘으신 할아버지가 어렸을 때 이곳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때보다도 낮다는 사실이다. 즉 밀집사육과 옥수수와 콩으로 상징되는 사료용 농작물
덕분
에 축산업이 규모의 경제가 되면서 단가(고깃값)가 떨어졌다는 말이다. 이런 여건에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육류에 대한 인류의 타고난 선호와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축산업계의 로비와 재력이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설명하고 있다. 코알라처럼 먹는 음식이 정해져 있는 종은 “고도로 전문화된 소화계
덕분
에 먹는 문제에 많은 지적 능력을 할애할 필요가 없다.” 즉 작은 머리 전략을 대표한다. 폴란은 “코알라의 뇌는 매우 작아서 두개골을 전부 채우지도 못한다”며 “동물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코알라는 ... ...
멸종위기종의 천국 DMZ, 생태공원으로 거듭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22
이루어진 뒤부터 DMZ는 철책에 가려졌고, 인간 없는 세상으로 남아 왔다. GIB 제공
덕분
에 DMZ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이 인간의 간섭 없이 65년을 살아왔다. 환경부가 2017년까지 DMZ와 맞닿아 있는 ‘민간인통제구역’을 조사한 결과, 이 근처엔 5978종의 생물이 살고 있었다. 이 숫자는 한반도 생물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같지만 사람에서 여전히 적지 않은 비율로 존재하는 건 그 대가로 얻은 이런 비범한 재능
덕분
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2월 학술지 ‘플로스 유전학’에는 대규모 게놈 데이터 분석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된 유전자 가운데 일부가 양성선택됐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