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
구별
"(으)로 총 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끝없는 호텔 수영장 ‘화제’
팝뉴스
l
2017.05.12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위 사진을 보면 하늘과 풀 그리고 바다가
구별
이 잘 되지 않는다. 수영장이 한없이 넓은 것같이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무한 풀장이라고 불린다. 또 풀장은 절벽을 깎아 만든 것 같다. 낭떠러지 저 밑에 아름다운 바다가 일렁이고 있고 위로는 ... ...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12
소란을 피워 물고기를 모는 법도 배웠어요. 이렇게 잡은 물고기는 어벤저스가 직접 종을
구별
하는 ‘동정’ 작업을 거친 뒤에, 모두 원래 살던 곳으로 돌려보내 주었답니다. 가슴 장화를 입고 가족과 함께 족대로 민물고기를 잡는 탐사대원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22일 탐사에서는 잉어과에 ... ...
수백 년된 명품 ‘스트라디바리우스’, 요즘 바이올린보다 나을 거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09
등 7명의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가 맡았다. 연주자들 역시 안대를 착용해 악기를
구별
하지 못하도록 했다. 조사 결과, 오케스트라 연주가 함께 곁들여지든 그렇지 않든 청중은 스트라디바리우스보다 새 바이올린의 음향 방사도가 더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음향 방사도는 스트라디바리우스가 ... ...
아침을 맞는 캐나다의 호수
팝뉴스
l
2017.05.08
사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아래 사진은 캐나다 노르덱이다. 드넓은 호수와 하늘이 잘
구별
이 되지 않는다. 사진에 촬영된 여성은 평화와 안식의 시간을 누리고 있다. 사진작가 케일렌 앰슬리는 캐나다의 호수가 갖는 매력을 극적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국립과천과학관에 ‘넥슨 메이플스토리 연구소’ 오픈!
동아사이언스
l
2017.04.20
‘메이플 영웅되기’ ‘게임제작 인포그래픽 전시’ 등 총 여섯 개의 공간으로
구별
돼 있습니다. 특히 상상 속 게임을 직접 디자인해 볼 수 있는 게임 제작이나 프로그램 코딩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돼 있습니다. 넥슨에서는 메이플스토리 연구소 오픈을 기념할 다양한 이벤트를 ... ...
[과학체험 해외 소식] 봄 바람 휘날리며, 연 한 번 날려볼까?
2017.04.14
각 나라를 대표하는 전투기를 ‘연’에 그려 하늘에 띄운 다음 조종사들이 전투기를
구별
하는 안목을 기르도록 도왔습니다. 미군 전투기 조종사 훈련을 위해 각 나라의 전투기가 그려진 연을 띄우는 폴 가버(오른쪽). - 국립항공우주박물관 홈페이지 제공 폴 가버는 전쟁이 끝난 뒤에도 ... ...
구글 포토는 어떻게 음식 사진을 검색할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3.29
자율주행차는 실현 불가능하다. 또 시큐리티 카메라는 정상적인 거주자인지 침입자인지
구별
할 수 있어야한다. 가족 구성원이 들어왔을 때는 경보를 울리지 않고 도둑이 들어오면 경보를 울려야 한다. 클라우드 비디오 인텔리전스 API는 구글의 텐서플로와 같은 인공지능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개 ... ...
투명 필름에 입김만 불면 진위 여부 확인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7.03.27
특성을 지니고 있어 복제도 불가능하다.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입김만 불어 가짜 양주를
구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이 쉽고 간편하게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복제가 불가능한 보안용 필름을 개발했다. 박종목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 ...
[생활의 시선 58] 여행지에서 맛집 찾기
2017.03.25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주의 깊게 살피면, 블로그든 뉴스 기사든 진짜와 가짜를 금세
구별
하게 된다. 검색된 블로그나 기사 내용이 광고성 대가를 받고 올린 것인지, 안목 있는 블로거나 기자의 자발적 기록이자 추천인지는 그 글과 이미지의 성격을 보면 판단할 수 있다. 모든 글의 진정성은 문맥을 ... ...
아날로그 방식의 ‘인공두뇌’ 전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했다. 완성된 인공지능은 수만 번 반복 학습을 거쳐 여러 사람이 쓴 손글씨를 기억하고
구별
해냈다. 현재 필기체 인식 정확도는 80% 정도다. 전력 소모도 줄어든다. 기존 시스템과 비교해 100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