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부"(으)로 총 1,4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평면 위에서는 서로 다른 모든 삼각형의 넓이가 항상 같다’는 것이다. 언뜻 보기엔 전부 다를 것 같지만, 실제로는 모두 같다.이렇게 쌍곡 기하학 평면 위에서 나타나는 도형의 특이한 성질을 가장 쉽게 탐구해 볼 수 있는 도구가 뜨개질 모형이다. 뜨개질로 만든 쌍곡 기하학 평면 위에 구분할 수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있는 고유한 유전자였답니다.그런데 남극대구의 고유한 유전자 1만 3123개를 뺀 나머지 전부가 온대성 물고기들이 가진 유전자와 같았어요.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약 100만 년 전에 온대성 물고기인 큰가시고기에서 분리된 어종이 남극에서 살면서 오랜 시간 동안 진화하면서 지금의 남극대구가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보리, 호밀, 귀리 같은 맥류 곡물은 예로부터 인류의 주요한 먹거리였어요. 맥류는 전부 벼과에 속하는데, 그 생김새가 모두 비슷해서 처음 보는 사람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답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보리는 수염이 길고 빳빳한 반면, 밀은 수염이 짧고 가늘지요. 호밀(왼쪽)은 수염이 위쪽으로 ...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주사를 맞을 때 한 번 따끔한 것만 참으면 된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말 것! 성조숙증, 전부 다 치료하는 건 아니라고?성조숙증으로 진단된다고 해서 모두 치료를 해야 하는 건 아니래. 성조숙증이 있다고 해서 임신을 할 수 없다거나 다른 병이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지.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양성을 포함한다’고 더 구체적으로 제 시했지. 생물다양성은 지구에 존재하는 생물 전부를 뜻하는 셈이야.변이* 같은 종에서 성별, 나이와 관계없이 모양과 성질이 다른 개체가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사람으로 치면 얼굴도 키도 성격도 다른 여러 친구들이 있는 것이다. 생태계다양성, 종다양성,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내려가 우편함 속 파란봉투를 낚아챘지요. 물론 제가 1등을 가장 많이 했고요! 부록까지 전부 다 보관하고 있다가 사촌동생에게 물려줬는데, 아직도 어과동을 보면 그때 파란봉투에 열광하던 모습이 떠올라요.이호용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석사과정독특한 무인 로봇을 만드는 과학자가 될 거예요 ... ...
- 보름달 VS 슈퍼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되면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정반대 방향에 위치해요. 바로 이때 태양이 달의 앞면 전부를 환하게 비추기 때문에 지구에서 둥그런 보름달이 보이는 거예요. 음력 15일 이후가 되면 달의 왼쪽이 둥근 반달인 하현달, 그믐달의 순서대로 달의 모습이 변한답니다. 슈퍼문 뜨면 재앙이 일어난다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이면 불호령이 떨어졌다. 깨끗함에 대한 집착도 지나쳤다. 잠깐 나갔다 오더라도 옷을 전부 갈아입었고 조금이라도 신체접촉이 있으면 꼭 샤워를 해야 했다. 작은 일 하나라도 보고해야 하는 건 덤이었다. 종이컵 하나 압정 하나라도 허락 없이 썼다가는 노기를 피할 수 없었다.전형적인 강박성 ...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작가는 이들이 말미잘에 모여드는 순간을 포착했다. _패트릭 바투스카]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토끼는 귀가 길고 기린은 목이 길다. 동물은 눈에 보이는 대로 보인다고 믿기 쉽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이들의 일부, 혹은 전체를 보면 상상하지 못하는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프로 작가들은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숙소에서 플랑크톤 관찰, 흑진주 핵 삽입 실험, 물고기 해부 등 실내 교육이 이어졌다. 전부 기지에서 하고 있는 연구와 관련돼 있다. 이대원 연구원은 체험단과 함께 손전등을 들고 기지 앞바다로 향했다. “여러분 ‘라이프 오브 파이’라는 영화 보셨나요? 주인공이 바다에 불을 비추자 생물들이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