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두
전체
일체
모든
완전
완비
큰 도끼
d라이브러리
"
전부
"(으)로 총 1,415건 검색되었습니다.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한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한 온도에서 다섯 번은 반복해서 실험한다. 챔버 8개를
전부
가동해도 한 종의 성장속도를 파악하는 데 최소 세 달 이상 걸린다.실험실에서 파리와 구더기를 키우는 모습이 아무래도 기이했다. “먹이는 뭘 주나요?” “얘네가 돼지나 소 간을 좋아해서, 가끔 마장동에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유클리드 공간만 있어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요. 그렇다고 유클리드 공간이 세상의
전부
라고 할 수는 없죠. 진짜 세상은 위상공간처럼 훨씬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으니까요. 원근법도 마찬가지예요. 원근법으로 그린 그림은 오직 하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이에요. 왜곡과 편견이 있을 수밖에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돼요. 저처럼 박사 과정까지 마친 사람들도 전공 분야가 아니면 학사 때 배웠던 내용이
전부
거든요. 그래서 학사과정 때 기초적인 공부를 열심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궁금한 게 있으면 언제든 선배들이나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건 학생만이 가진 특권이니까요.“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냥꾼이 수십 명의 젊은 부하를 이끌고 높은 산과 넓은 들을 누비는 모습은 수만 년
전부
터 반복된 과정이다. 산을 좋아하는 중년의 사장님은 무의식적으로 원시 시대의 족장 역할을 하고 싶은지도 모른다. 게다가 산에서 내려오면 보통 고기를 구워 먹으면서 집단적인 여흥을 즐기고는 한다. 혹시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대부분 창문이나 문으로 돼 있어, 필요하면 서로 연결해 개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전부
닫아 독립적인 공간으로 쓸 수도 있다. 유리 대신 창호지를 쓰기 때문에 닫기만 하면 밖에서 보이지 않는다. 특히 대청과 방 사이의 ‘분합문’은 닫으면 두 공간을 분리해 주고, 들어 올리면 하나로 만들어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천체. 그곳에서 나온 빛 알갱이(광자)로 전신 샤워를 하고, 사용하는 에너지의 거의
전부
를 의존하고 있는 근원 중의 근원. 그런 태양에 대해 모르는 게 많다니 의아했다.“예를 들어 ‘코로나’라고 하는 구조에 대해 잘 알게 된지도 그리 오래 되지 않았어요.”코로나는 태양의 외곽을 통틀어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눈도 많은 부분이 피부에 가려져 있지만 새들은 훨씬 더 기만적이다. 동공을 빼고는
전부
피부와 깃털에 덮여 있다. 타조 눈의 지름(각막에서 수정체 중앙을 지나 눈 뒤 망막까지의 거리)은 50mm로 사람(24mm)의 두 배가 넘는다. 낮에 활동하는 맹금류는 새들 중에서도 유독 큰 눈을 자랑한다. 독수리나 ... ...
[과학뉴스] “변기 고치는 데 드는 수백억, 아낄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염려도 없어요.Q 대회를 준비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다면?A 돈이 없는 게…(웃음).
전부
고등학생이었으니까요. 작년 3월부터 팀원들과 주말마다 모여 대회를 준비했는데, 스터디룸을 빌리는 것도 부담스럽더라고요. 다른 팀 중에는 대학과 연계해서 지원을 받는 팀도 있더라고요. 지도교수님도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이나 영국 자연사박물관 같은 유명한 박물관에서도 광물 250종
전부
를 볼 수는 없어요. 하지만 제 수집품으로 만드는 자연사박물관에서는 모두 볼 수 있을 거예요. 아마 세계에서 가장 멋진 광물 박물관이 되지 않을까요? 그때까지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이야기를 담고 있는 돌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나섰다. 연구팀은 모세가 미로 내에 각각 떨어져 설치된 8개의 먹이를 길을 잃지 않고
전부
먹을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모세는 자신이 지나갔던 길을 정확하게 기억해가면서 8개의 먹이를 모두 먹어 치웠다. 이는 같은 길을 실수로 몇 번씩이나 오가며 먹는 쥐보다도 뛰어난 결과였다.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