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정부 관계자들을 서로 연결시켰다. 세포 농업 분야는 점차 커져 2012년 전 세계 30개 연구실에서 배양육 연구가 진행됐다. 근관세포 키워 근육조직 만들어 배양육 연구에 방점을 찍은 것은 마크 포스트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 혈관생리학과 교수다. 포스트 교수는 2013년 런던에서 열린 학회에서 ...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장비뿐만 아니라 유도결합 플라스마 분광광도계, 운동 분석 시스템 등 웬만한 대학 연구실에서도 보기 어려운 첨단 장비도 갖추고 있다. 학생들이 원한다면 야간에도 얼마든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교장은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등 전공별 연구 장비가 구비돼 있어 이들 분야를 ... ...
- [과학뉴스] 해양쓰레기 1위는 담배꽁초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훨씬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세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정책연구실 연구원은 9월 30일 발간된 ‘KMI 월간동향 보고서 제9호’에서 한국해양구조단이 전국 32곳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한 결과, 담배꽁초가 전체의 21%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비닐봉지, 스티로폼 순으로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쳤습니다. 약 200리터짜리 드럼에다 바둑돌 모양의 M사 초코볼을 가득 채워서 채킨의 연구실 앞에 놔둔 겁니다. 그런데 이 장난이 수학과 물리학에 깜짝 놀랄 결과를 가져왔습니다.채킨 교수는 가득 채운 초코볼을 보고 공간을 최적으로 채우는 구조에 관한 새로운 아이디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는 리핑 첸 교수다. 그는 1999년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메이요 클리닉의 한 연구실에서 T세포의 활성을 연구하던 중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면역 억제 단백질인 PD-L1을 발견했다. 주로 암세포나 항원표지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PD-L1은 T세포의 PD-1 단백질과 결합해 면역 기능을 억제하는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올해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프랜시스 ...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대 프랜시스 아놀드 교슈의 연구실에서 생화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재직 ... ...
- [Origin] 인간을 지키는 방패, 오존층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합니다.필자가 속한 연세대 대기과학과 대기복사연구실은 남극에서 오존홀이 보고 되기 전인 1984년부터 돕슨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성층권의 오존 감시 업무를 시작하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가장 오랫동안 오존 관측 업무를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반도 ... ...
- [Issue] 중국 유학을 꿈꾸는 학생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최근에는 유학생 중 한 명을 방학 동안 KAIST 연구실에 실습을 보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연구실에서 실습하면서 왜 자신의 전공을 계속 공부해야 하는지 느꼈다는 이야기를 듣고 큰 희망을 갖게 됐다. 교수로부터 배운 것도 있지만 선후배들과 함께 실험하면서 본인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문을 두드릴 수 있다. 경영·경제에 관심이 있다면 허 학과장이 맡고 있는 지구환경경제연구실에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다만 허 학과장은 에너지자원공학의 어느 분야를 전공하든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 중심의 거친 문화가 녹아 있는 산업이라 사람과 ... ...
- [Issue] 그 돌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 먹는 광물 찾아 포항 광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흡착성 뛰어난 점토광물, 먹고 바른다지질신소재연구실에서는 점토 원료 의약품뿐만 아니라,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부터 소화기관에 작용하는 의약품까지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었다. 한 예로 흡수성과 흡착성이 뛰어난 벤토나이트를 이용해 미세먼지,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