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유학일기] 국적은 달라도 K팝 댄스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먹곤 했다. 방학 때도 동아리 친구들과의 만남은 멈추지 않았다. 1학년 여름방학 때
연구실
에서 일하기 위해 학교에 남았는데, 마침 동아리 친구 여러 명이 학교에서 인턴십이나 연구를 하기 위해 머물렀다. 그 덕에 매일같이 하루 일과를 마치면 다 같이 모여 함께 춤을 추곤 했다. 이 때 매주 한 편 ... ...
김빛내리|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아이디어가 나왔을 때 귀기울여주는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그의
연구실
미팅에서는 ‘교수님 생각이 잘못된 것 같다’는 말이 비교적 편하게 나온다고 했다. 끝으로 김 교수는 “대한민국은 교육열이 높고 인적자원 수준이 높아 이공계의 발전 가능성이 큰 데 비해 낙관적인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수업 등을 들었다. 미술 수업이 있는 건물이 마침 화학과 건물과 가까이 있어 하루 종일
연구실
과 스튜디오를 오가면서 생활한 학기도 많다. 그 중에서도 유화 수업이 가장 재밌었는데, 물감이 부드럽게 번지는 느낌이 너무 좋았고, 특히 자화상을 그리고 나서는 굉장히 뿌듯했다. 무척이나 유쾌했던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제한범위를 바꿔버리는 것이다.박 교수는 이를 실제 철도 시스템에 적용해봤다. 그의
연구실
에는 큰 책상이 여러 개 붙어 있고, 그 위에 철도 모형이 놓여 있었다. 박 교수는 “현실적으로 철도 추돌 실험을 실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철도 모형을 만들어 시뮬레이션했다”며 “모형이지만 세계 표준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그는 원인을 규명하지 못한 채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변 박사와 같은
연구실
의 조교로 함께 연구를 진행했던 시라카와 히데키 박사가 약 10년 뒤 미국으로 건너가 앨런 맥더미드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와 당시 벨연구소 연구원이었던 앨런 히거 박사와 함께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공동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그는 “설계상 잘못 조립할 경우 다시 되돌리는 게 불가능했다”며 “DGIST에 있는 무진동
연구실
에서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서 교수는 STM으로 고온 초전도체의 원리를 탐구하고 있다. 초전도체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이 0인 물질이다. 이런 현상이 30K(영하 243.1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대학원
연구실
에서 연구 주제를 공개하면 학부생들이 이에 맞춰 지원하고,
연구실
에서는 지원한 학부생들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보고 선발하는 식이다. 선발된 학부생은 교수와 대학원생의 도움을 받아 연구의 세부 주제를 정하고 논문 지도를 받을 수 있다. 또 해외 학회에 참가할 때 경비도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마에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연구소 유체인터페이스
연구실
교수와 하프릿 사린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을 개발해 2018년 12월 7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해바라기처럼 식물은 빛에 반응한다. 빛의 변화가 감지되면 식물은 잎과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랩(Space Robotics Lab)’은 그때 막 달 탐사차(로버)의 첫 번째 모델을 완성한 참이었다.
연구실
을 이끄는 요시다 카즈야(吉田和哉)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다행히 로버는 망가지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무게 10kg 로버, 500m 이동 성공 요시다 교수는 달 탐사 로버를 개발하는 ‘하쿠토(HAKUTO)’ 팀을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데는 또 다시 오랜 시간이 걸렸다. 2010년 발굴 이후 다른 발굴 조사에 밀려 오랜 시간
연구실
수장 공간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이다. 6년이 지난 2016년, 고성국제공룡심포지엄에서 해외 학자들을 초청해 이 발자국 화석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앤서니 로밀리오 호주 퀸즐랜드대 박사후연구원과 리다 씽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