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사이에는 새로운 관계가 생겼습니다. 그는 ‘물리수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연
사람
이기도 하지요. 수리물리학이 물리학에 필요한 수학적 방법론에 초점을 둔다면, 물리수학은 이에 대조되는 개념으로 물리 이론으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에요. 위튼 교수의 제자이자 세계적인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발명해 천문학자의 계산을 쉽게 만든 덕분에 많은 이의 생명을 구했어요. 이처럼 수학이
사람
의 생명을 구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대중에게 알리고 싶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해서 도쿄공업대학교 수학 전공으로 학사부터 박사 학위까지 땄어요. 대학원을 다닐 때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말하면서 증명에 정형화된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증명이 당시 수학을 하던
사람
들 사이에 공통 약속처럼 자리를 잡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그럼에도 의 증명 방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도전도 있었습니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이 책에서 귀류법을 120번 넘게 사용해요. 귀류법은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없다는 뜻입니다. 확률을 높이는 근본적인 방법은 나의 유전체와 비교할 수 있는 다른
사람
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최대한 많이, 정확하게 확보하는 겁니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로 예산을 3조 원이나 들여 20년 전 인간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고도 아직까지 유전체 분석을 계속하는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1억 명을 돌파하며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떠올랐다. MAU란 해당 월에 한 번이라도 접속한
사람
수다. 틱톡은 9개월 만에, 인스타그램은 30개월 만에1억 MAU를 달성한 것과 비교한다면, 챗GPT가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큰 관심의 대상이 됐는지 알 수 있다. 이처럼 챗GPT가 화제가 된 것은 기존 대화형 AI와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이번 연구만큼은 순수한 호기심이 목적이라는 것을 바꾸고 싶지 않았어요.” 과학하는
사람
의 순수한 호기심을 강조한 신 교수는 과학자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도 꼭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다. “대단한 연구를 해낸 과학자들도 ‘왜 과학자가 됐느냐’는 질문에 매우 단순한 호기심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목표죠. 안 교수는 “한 학생에게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나와 KAIST에 입학했다면, 그
사람
은 입시 과정에서 거의 한 번도 실패하지 않았다는 의미’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렇기에 KAIST 학생들은 앞으로도 실패하지 않고 계속 성공의 길을 걷고 싶어 한다는 게 안 교수의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막 굳은 화산 기슭에 식물을 심고 있더라고요. 그런 곳에 식물을 심으면 죽지 않나요? 그
사람
들에게 물어보니까 뭘 조작했다고 하던데 혹시 알고 있었어요?” 그들이 이야기한 것은 유전자 조작 식물이었다. 식물의 유전자를 조작해 원하는 형질을 갖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거친 환경에서도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한국적 요소들이 섞인 이야기에 금방 빠져들었다. 그러던 어느 날 이문열 작가의 ‘
사람
의 아들’을 읽고서, 어쩌면 이야기에서 내 답을 찾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날 바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매일 글을 썼다. 남들보다 출근을 일찍 하거나 퇴근을 늦게 하며 짬짬이 글을 썼다. 그렇게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 ... 연구가 시작되기 때문이죠. 환자와 의사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 그리고 여러 분야의
사람
을 만나 함께 발전시켜 가는 연구라는 점이 가장 보람됩니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