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
바닷물
이 육지로 올라오는 것도 한 순간이지만 빠져나가는 것도 순식간”이라며 “
바닷물
이 육지에 머무른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너무 길어 다음 파도가 오기까지 수십 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들어올 때보다 돌아나갈 때 지진해일파는 더 큰 가속도를 갖기 ... ...
산호초의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위에 있는
바닷물
을 일정한 공간에 가둔 뒤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고, 주변
바닷물
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측정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산호초와 조류가 생산하는 유기물과 산호초에 있는 세균이 소비하는 유기물의 균형이 맞는지 감시했다.랭던 교수는 “지금까지는 노동집약적인 방식으로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는 얼음 조각이 발틱 해의 짙은 바다색을 배경으로 청록색을 띠고 소용돌이치고 있다.
바닷물
이 얼어 해빙이 돼 가는 초기 단계에는 수많은 얼음 결정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물 위에 기름을 띄워 놓은 것 같은 모습을 만든다. 여기에 바람과 해류가 더해지면 얼음 조각은 기묘한 패턴을 이루며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단위반응 당 17.6MeV)로 바뀐다. 게다가 원료인 중수소는
바닷물
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바닷물
1L이면 석유 300L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로서는 탐나는 기술이 아닐 수 없다.우리의 목표는 분명했다. 선진국들과 다른 방법으로 ‘퀀텀 점프’를 이루자는 것.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뭔지도 모르시겠군요. 그냥 엄청나게 넓은 짠 호수라고 생각하세요. 아무튼 전
바닷물
속에 있어야 살 수 있어서 주최측에서 ‘어항’을 준비해줬습니다. 좁아서 좀 답답하기는 하지만….사회자: 바다가 얼마나 넓은지 궁금하네요. 그런데 자리돔 선생께서는 어떤 농작물을 키우시나요?자리돔: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곳에서는 지삿개 해안처럼 주상절리를 뚜렷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 바닷바람과
바닷물
에 깎이면서 둥글고 매끄럽게 문드러졌기 때문이다.필자가 아찔한 황홀함을 느꼈던 재인폭포의 주상절리도 신생대 제4기에 생성됐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고문리에 있다. 휴전선보다 북쪽인 강원도 평강군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미친다. 이런 결과는 지난해 미국 ‘과학원회보(PNAS)’ 7월 6일 호에 실렸다.그 외에
바닷물
의 pH가 하락하면 탄산이온이 감소해 조개나 갑각류 같은 석회화종이 껍질과 골격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앨런 로복은 2008년 ‘미국 핵과학자 회보’에 쓴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공기 중으로 뿜어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어느 지역에서
바닷물
이 솟아 오르면 다른 지역은 하강하게 마련이다. 국지적으로는 탄소 감소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전체적으로는 균형을 이룰 것이므로 효과는 아직 미지수다. 하늘은 기후학자들이 가장 먼저 지구공학에 대한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합한 크기다. 만재배수량은 대략 10만t 정도. 즉 짐을 가득 실은 항공모함 1척을 띄우면
바닷물
의 부피가 10만t 가량 늘어난다. 전투기, 지원기, 헬리콥터 등을 합해 보통 80~90여 대의 비행기들이 실려 있다. 승무원은 통상 6000여 명 정도. 2대의 원자로가 매일 부산시의 사용량과 맞먹는 전기를 만들어 ... ...
나사 중대발표, 비소 박테리아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큰 사진)의 침전물 속에서 발견한 박테리아 ‘GFAJ-1(작은 사진)’ 이었어요. 모노 호수는
바닷물
이 갇혀서 만들어진 호수로, 강한 알칼리성이라 많은 생명체가 살지 못해요. 여기서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한 거예요.많은 사람들이 외계생명체 소식이 아니라서 실망했지만, 인 대신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