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산화탄소를 받습니다. 폐로 돌아온 적혈구는 이산화탄소를 내려놓고 다시 산소를 받은 뒤 혈관을 타고 온몸으로 퍼집니다.손가락을 살짝 베었을 때 가끔은 피가 검붉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동맥에 흐르는 피는 산소와 결합하고 있어서 새빨갛게 보이고, 정맥에 흐르는 피는 산소가 아닌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퍼즐판에서 찾아 퍼즐을 맞춘다.가장 먼저 퍼즐을 맞춘 사람은 ‘우봉고~!’를 외친 뒤 판에 있는 자신의 말을 움직여 그 줄에 있는 보석 2개를 가져온다. 가장 먼저 퍼즐을 맞추지는 못했어도 모래시계가 멈추기 전에 퍼즐을 맞춘다면 보석을 가져갈 수 있다. 가장 먼저 퍼즐을 맞췄다고 해서 반드시 ... ...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전자를 조작한 근육세포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고무링 모양으로 성장시킨 뒤, 3D프린터로 출력한 7mm~2cm 길이의 뼈대 구조에 부착해 로봇을 만들었다. 여기에 빛을 비췄더니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로봇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바시르 교수는 “고무링 모양의 근육세포를 이용해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줄어들었을 때 필승법이 계산돼 있다. 알파고도 바둑판의 돌들을 채워 경우의 수를 줄인 뒤 완벽한 승리를 노린 것이다. 감동근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알파고가 1국이 끝나기 30분 전에 승리 메시지를 보고했다고 하는데, 그 시점에 바둑이 해결된 문제에 접어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원전 폐로 작업을 하기 위해서다. 게다가 2011년 체르노빌 원전이 관광지로 개발된 뒤부터는 ‘다크 투어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매년 만 명이 넘는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체르노빌 일부 지역의 지표에서 여전히 방사성 물질들이 검출되고 있다고 반대하지만, 우크라이나 정부는 많은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로라는 지구 자기권에 존재하는 플라스마가 태양풍의 에너지를 전달 받아 가속된 뒤, 자기장을 따라 지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기 입자와 충돌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지상에서 보면 높은 구름이 빛을 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고도 100km 이상의 대기권 밖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런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원자핵과 전자를 떼어 놓아야 한다. 그리고 핵과 핵이 잘 부딪치도록 1억℃ 이상 가열한 뒤 가둬놔야 한다. 1억℃로 끓으며 요동치는 플라스마를 감금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이 가운데서도 가장 ‘핫(hot)’한 기술이다.관건은 플라스마 감금 시간핵융합 반응의 에너지는 플라스마 입자들이 충돌하며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때 이용하는 거예요. 저희 모두 이렇게 자전거를 타고 집과 학교를 오갑니다. 사진 뒤를 자세히 보시면, 주차장에 세워진 수많은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보실 수 있을 거예요.저희는 모두 프놈펜 이외의 지역에서 올라와 있습니다. 다빈만 이모와 같이 살고, 나머지 둘은 친구들과 자취를 합니다. ... ...
- [Tech & Fun] 삼성 딜라이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상으로 2010년 6월에 처음 문을 열었다. 2011년 교육부 지정 교육기부기관으로 선정된 뒤 올해 2월까지 2867개 학교의 학생 12만7770명이 다녀갔다. 작년 12월엔 교육부에서 자유학기제 우수사례로 뽑혀 교육부장관상을 받기도 했다.삼성 딜라이트에는 자유학기제에 특화된 진로교육형 강의·체험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실 위대한 과학자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해 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뒤에 숨은 한 인간의 사고방식을 추리하는 일로부터 독자들이 더 큰 영감을 받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비슷한 생각을 가진 걸까. 위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 강의록 형식의 책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