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근시는 망막 앞에 상이 맺히면서 멀리 있는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고, 원시는 망막 뒤에 상이 맺혀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 한편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면이 고르지 않아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지요. 의 정상시력을 갖게 된답니다. 혹시, 우리 눈의 양쪽 눈이 서로 경쟁을 ... ...
- [쇼킹사이언스] 동글동글, 요정의 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교수는 생각이 달랐어요. 위에르겐스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6개월 뒤, 요정의 원이 식물들의 경쟁 때문에 생긴다는 ‘자원경쟁설’을 발표한 거예요. 크레이머 교수는 요정의 원이 강수량 100mm 지대에만 생긴다는 것에 주목했어요.강수량이 100mm 정도인 지역에서만 물 저장고인 요정의 원이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둥근 공 모양인 반면 용반류 공룡이나 조류 알은 길쭉해요. 이들은 난관을 한 번 수축한 뒤 알을 낳기 때문에 알 끝이 눌리며 뾰족해진 거랍니다.반면 무척추동물의 알은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요. 예를들어 식물에 알을 낳는 곤충의 알은 밑면이 납작해야 잎이나 줄기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을 수 ...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업가가 13일의 금요일에 자신을 포함한 13명과 함께 저녁 식사를 한 뒤 살해됐다는 이야기도 있다.진짜 13일의 금요일이 불운한 날이라서일까? 어차피 벌어질 일이라면 왜 하필 13일의 금요일이었을까? 13일의 금요일이 특별한 날인지 아닌지를 수학적으로 검증해보자. 그전에 두 가지를 알아야 한다 ...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도시에 있는 여러 개의 다리를 하나씩 건너고 있었다. 단은 호기심이 일어 그 수학자의 뒤를 쫓아 걸었다.“다섯 번째 다리, 여섯 번째 다리,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곱 번….”그때였다. 수학자가 마지막 다리에 오르자 다리 반대쪽이 위로 움직였다. 수학자는 결국 다른 섬으로 이동하지 못한 채 다리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번 새끼 한 쌍을 매달 낳는다고 합니다. 이후에 태어난 토끼들도 마찬가지로 출생 두 달 뒤부터 토끼 한 쌍을 매달 낳습니다. 어떤 토끼도 죽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1년 동안 태어나는 토끼는 모두 몇 쌍일까요?표를 보면서 생각해 봅시다. 태어난 토끼 쌍은 다음 달에는 자라고, 그 다음달부터 새끼 ...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3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금붕어와 고래상어 등의 어류는 아가미로 바닷물을 빨아들인 뒤 물속에 들어 있는 먹이만 걸러내 먹는다. 아가미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아가미 필터는 찌꺼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없고, 필터 구멍보다 더 작은 입자들까지도 걸러낸다.연구팀은 원리를 알아내기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디자인했다. 약 1000개의 나노크래프트를 발사체에 실어 지구 밖으로 내보낸 뒤, 지구에서 발사한 레이저로 이들을 추진해 우주로 날려 보내는 계획이다. 속도는 광속의 5분의 1 수준으로, 오늘날의 우주선으로는 3만 년 걸리는 거리를 나노크래프트는 20년 안에 주파할 수 있다. 비행하는 동안 촬영한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벤터 박사의 논문(1파트 참조)이 발표된 지 일주일 뒤인 2010년 4월 1일, 사이언스에는 또 한편의 합성생물학 논문1)이 실렸다. 궁금한 마음에 논문을 찾아본 기자는 눈을 의심했다. 아주 익숙한 기호들이 가득했기 때문이다. AND, OR, NOT게이트까지, 컴퓨터 소스코드와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호였다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질을 조사할 때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해저탐사 장비다. 코어를 여러 개 연결한 뒤 수심 6000m 이상에서 자유낙하시키면, 해저면을 관통하면서 원통 안에 퇴적물이 채집된다. 코어가 깊게 박힐수록 더 오래 된 해저 지층과 지질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염분 수온 수심 측정기(CTD)’도 4월 초 ... ...
이전4584594604614624634644654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