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0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수문장의 움직임 하나하나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7
실었다. 얼핏 보기에는 모두 같은 분자처럼 보이지만 모양새가 조금씩 다르다. 생물의
에너지
원인 아데노신삼인산(ATP)을 이용해 세포 안과 밖으로 물질을 전달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ABC 수송체’가 시간별로 변화하는 모습을 분자 단위의 해상도로 촬영한 것이다. 로버트 탐페 독일 괴테대 ... ...
[주말N수학]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과학과 수학이었다
수학동아
l
2019.07.27
정도로 드가는 그 순간을 잘 포착해 화폭에 담았다. 이 그림 한 장으로 발레가 얼마나
에너지
를 많이 쓰는 예술인지 엿볼 수 있다. 빅피쉬 C&M 탁한 색감 해결한 쇠라의 점묘법 이 문제는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가 점묘법을 개발하면서 해결됩니다. 점묘법은 즉흥적으로 붓질을 하지 않고 원하는 ... ...
아인슈타인 이론, 먼 우주-블랙홀에서 다시 한번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른 것으로, 블랙홀 주변의 강력한 중력장을 벗어나기 위해 광자가
에너지
를 잃으면서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이다(적색편이). 우리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초대질량블랙홀(그림에서 깊은 우물처럼 묘사된 시공간 위에 위치)을 도는 별 S0-2의 궤도를 상상한 그림이다. UCLA 제공 ... ...
알칼라인 연료전지 핵심부품 단가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
에너지
및환경과학회지’ 7월호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에너지
및환경과학회지’ 7월호에 발표됐으며 표지로 선정됐다. KIST 제공 ... ...
미세한 질감차 구별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섬세한 질감을 감지하는 촉각 센서가 개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최창순
에너지
융합연구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압력과 진동을 동시에 감지해 물체의 미세한 질감을 측정하는 인공피부 기반 촉각센서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체처럼 감각을 느끼게 하는 인공피부는 ... ...
기후변화에 맞서는 대응기술 '한자리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지원하여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뿐 아니라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
환경 사회를 이끌어 가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부터 3일간 서울 양재at센터에서 '2019 대한민국 기후기술대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기후변화는 위장된 축복"…"더 효율적인 경제 시스템 등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경제시스템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환경 경영이나 기후기술 개발은
에너지
고갈이나 환경운동에 따른 대안이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 덧붙였다. 김 교수는 미세먼지를 언급하며 미세먼지에 쏠린 국민들의 관심을 하나의 원동력으로 삼아 기후기술 개발에 ... ...
태양풍으로 날아가는 '우주 돛단배' 시험 비행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데이브 스펜서 미국 퍼듀대 항공학 교수는 "태양풍은 무한한
에너지
"라며 "라이트세일에 닿는 태양풍은 손바닥에 얹은 종잇장처럼 가볍게 느껴지지만 지속적으로 받으면 점점 비행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쌍둥이 탐사선 ... ...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체온 발산을 억제해 적절한 체온을 유지시키고 섭취
에너지
가 부족할 때를 대비해
에너지
를 몸에 축적하는 과정 자체는 자연스러운 몸의 방어 전략이기 때문이다. 서준영 교수는 “예를 들어 에볼라, 황열 바이러스는 고열을 유발하는 병원체”라며 “이 병원체에 감염됐을 때 바이페린 ... ...
열대 바다 차가워지면 남극 작은 동물도 생존전략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플랑크톤이 번성하지 못했다. 이들을 먹고 사는 동물 플랑크톤은 겨울을 나기에 충분한
에너지
를 모으지 못했고, 결국 2010년 겨울에 체류한 기간의 절반을 채 채우지 못한 채 새로운 먹이를 찾아 표층으로 올라간 것으로 분석됐다. 엘니뇨현상과 남극 고기압이 강했던 2010년(왼쪽)과 라니냐현상과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