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
2014.09.28
국내 연구진이 아연나노입자를 활용한 저가의 고성능 항균유리패널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모니터나 스마트폰 터치패널 등에 항균기능을 추가하려면 고가의 은나노 제품 ... 이 연구성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지(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 9월 3
일자
에 게재됐다. ... ...
발암 단백질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줄기세포 단백질
2014.09.28
BRD4 단백질을 억제하자 줄기세포들이 만능성을 잃었다. 녹색이 만능성을 잃은 줄기세포. - Raffaella Di Micco, Ph.D. 제공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 ...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줄기세포 분야 학술지 ‘셀 리포트’ 25
일자
에 게재됐다. ... ...
‘남극대구’ 게놈 최초 해독…동상-고지혈증 치료 청신호?
2014.09.26
남극에 사는 고등동물 중 최초로 게놈 전체가 해독된 남극 대구 - 극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남극 차가운 바다 속에 살고 있는 '남극대구'의 유전체(게놈) 전체를 분석하는데 ...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유전체 분야 학술지 '게놈 바이올로지(Genome Biology)' 9월 25
일자
에 실렸다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뇌수막 회복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7
일자
에 발표했다. 뇌수막은 외부로부터 뇌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구조물이다. 뇌가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 뇌수막 세포가 이동해 손상된 뇌수막을 재구축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떤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원생동물(왼쪽)에서는 물론 물벼룩(가운데), 제브라피시의 체내에서도 형광나노물질이 발견됐다. - 건국대 제공 수은과 같은 중금속이 먹이사슬을 타고 농축된다는 사실은 이미 잘 ... 연구성과는 독성학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톡시콜로지(Nanotoxicology)’ 온라인판 8월 14
일자
에 실렸다.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전기를 만드는 발전기를 개발해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3
일자
에 발표했다. 기존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프로펠러를 돌리는 힘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방식인데 부피가 크고 설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에 주목했다. 위아래에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항생제에 내성을 얻게 되는 과정을 밝혀내고 유전분야 학술지 ‘플로스 지네틱스’ 18
일자
에 발표했다. 베타락탐(β-lactam)계 항생제는 오늘날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생제다. 만약 세균이 이 항생제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만들 수 있다면, 이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는 힘(내성)을 갖게 된다. ... ...
햇빛만 있으면 수소가 펑펑
2014.09.23
텅스텐 산화물로 수소에너지 생산용 광촉매를 만들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광촉매가 햇빛을 잘 산란시킬 수 있도록 텅스텐 산화물을 꽈배기 모양으로 제조했다. 여기에 물을 분해하도록 전자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인 비스무스 바냐듐 산화물을 코팅했다.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수명을 단축시키고 기형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BMC 진화 생물학' 24
일자
에 발표됐다. 조지 오타키 일본 류큐대 교수팀은 나비에게 방사성 물질인 세슘에 오염된 먹이를 먹였더니 수명이 짧아지거나 날개 모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같은 영향은 세대가 지날수록 더 ... ...
‘굿바이 나로과학위성’ 나로호 탑재체, 4월 우주 미아 됐다
2014.09.23
처음”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팀은 이 결과를 ‘사이언티픽 리포트’ 5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현재 나로과학위성은 통신 두절 상태로 계속 지구 주위를 돌고 있으며 광학추적장치(SLR) 등을 통해서만 궤도 분석이 가능하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약 6.5년 뒤인 2021년 나로과학위성이 지구로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