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글 뼈, 5주 만에 재생 완료
2014.10.14
국내 연구진이 성장인자의 전구약물을 세포막을 잘 통과하는 전달체와 결합해 세포 내에 성장인자를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연세대 치대 제공 국내 연구진 ...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생체재료 분야 전문지 ‘바이오머티리얼스’ 9월 15
일자
에 실렸다.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동시 채용 제의 받아들여 ‘네이처’도 6월 26
일자
기사에 아쉬움이 있었는지 10월 9
일자
에 2014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모세르 부부의 스토리를 네 쪽에 걸쳐 자세히 다뤘다. 대중들도 알기 쉬운 ‘뇌 GPS’로 비유되는 격자세포(grid cell)를 발견한 공로로 수상한 이들 부부는 1983년 노르웨이 ... ...
뇌 염증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 발굴
2014.10.13
국내 연구진이 뇌 세포에 발생하는 염증을 억제하고 염증으로 생긴 뇌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을 개발했다. 박승범 서울대 교수(왼쪽)와 석경호 ...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12
일자
에 실렸다.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뱀이 모래언덕을 오르는 원리가 밝혀졌다. - Rob Felt 제공 생물학자와 물리학자, 로봇공학자로 이뤄진 미국 공동 연구팀이 뱀이 모래언덕을 오르는 원리를 밝히고 로봇에 적용하 ...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0
일자
에 발표됐다. ... ...
“10년내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
2014.10.10
200석 규모의 강의실에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그의 연구팀이 ‘네이처’ 온라인판 5월 28
일자
에 인간프로테옴의 첫 번째 밑그림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팬디 교수팀은 성인과 태아의 조직을 분석해 단백질을 만든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약 84%에 해당하는 1만7294개 유전자가 정확히 어떤 단백질을 ... ...
임신부세요? 하루에 요거트 하나 꼭 드세요~
2014.10.08
요거트가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미국미생물학회 학술지 ‘엠바이오(mBio)’ 7
일자
에 발표했다. 수은과 비소는 식수와 생선 같은 음식에서 발견되는 중금속 물질로, 광산 인근이나 개발지역, 산업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특히 적은 양이라도 주기적으로 섭취하면 암이나 어린이 신경발달지체, ... ...
직장 상사가 화내면 직원들 딴짓 더 많이 해
2014.10.08
업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고 심리학 관련 국제학술지 ‘일과 스트레스’ 8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8만 여 명의 인터넷 설문 응답자 중 전일 근무를 하며 다양한 업무분야에 종사 중인 268명을 골라내 조사를 실시했다. 이들은 평균 9년 이상을 같은 직장에 다녔다. 먼저 연구팀은 ... ...
물 마시려면 잎스폰지보다 이끼스폰지로
2014.10.07
아니라 동물도 기술을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플로스 바이올로지’ 9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간다의 부동고 산림지역에 사는 침팬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침팬지는 각자 다른 도구를 사용한다. 연구팀은 그 중 ‘잎스폰지’에 주목했다. 이 도구는 잎을 뭉쳐 ... ...
키컸으면~ 키컸으면~ ‘키 유전자’ 700개 추가로 발견
2014.10.06
국제 연구팀이 키 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697개를 밝히고 ‘네이처 지네틱스’ 6
일자
에 발표했다. 사람의 키는 80% 정도가 유전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고, 나머지 20%는 영양 상태 등 후천적인 요소가 결정한다. 지금까지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 중 10%만이 밝혀졌다. 국제인체특성유전연구단(GIANT ... ...
폐암 발생 막는 ‘유전체 지킴이’ 단백질 발견
2014.10.06
교수팀은 단백질 ‘BAP1’의 작용 기전을 새로 밝혀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
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권종범 이화여대 생명과학과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BAP1 단백질은 그동안 암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 단백질이 정확히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