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스페셜
"
통과
"(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관찰하는 데 활용했다. 가령 채널로돕신 1과 2라는 이온채널은 푸른 빛을 쬐면 양이온을
통과
시킨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마치 스위치를 켰다 껐다 하는 것처럼 뇌의 특정 부분을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오래 전 기억을 되살리는 ... ...
신용현 "라돈 제품, 빠르고 안전한 수거시스템·수거 제품 처리 방안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의 라돈침대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해
통과
시켰지만 소급적용이 되지 않아 법 시행일인 7월 16일 이전에 제조 및 판매된 가공제품에 대해서는 추적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이런 문제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가 하루빨리 나서 국민 ... ...
[팩트체크]"자석으로 통증 고친다?" 효능 의문 효도상품 건강 자석목걸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재활의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근육
통과
관절염을 호소하는 소아마비 환자 50명에게 300~500G 정도 자성을 가진 자석을 45분간 착용하게 하고 착용 전후 통증 정도를 답하게 했다. 그 결과 자석 치료를 받은 환자는 10점 척도에서 통증 점수가 평균 4.4점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사람을 감염시키는 편충과 비슷한데 인간의 몸에서도 살 수 있다. 하지만 충란이 장벽을
통과
할 수 없고 장 내에서 번식을 하지도 못한다. 돼지 편충은 아직까지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킨다는 보고도 없다. 사람 사이의 전파를 위해서는 축축한 땅에 두 달 이상 있어야 하는데, 현대 사회에서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기본 뼈대였던 갈레노스에 따르면 심장의 심실과 심실 사이 격벽에 구멍이 있어 혈액이
통과
한다고 했으나 이븐 알 나피스는 격벽에 구멍이 없고 단단하다고 기술했다. 이는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내용이다. 폐순환을 다시 언급한 사람은 250여 년 뒤인 16세기 유럽의 세르베투스였다. 온전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주변세포, 줄기세포처럼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1
영향을 받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세포에 집어넣으면 세포막을
통과
해 주변세포로 포지는 형광 단백질을 개발했다. 암세포에 이 단백질을 넣으면 암세포와 접촉하는 주변세포로 이 단백질이 퍼지면서 어떤 세포가 암과 접촉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생쥐를 ... ...
[김우재의 보
통과
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생각은 단 한번도 실험적으로 증명된 적 없지만, 바로 그 마태효과가 극대화된 21세기, 보
통과
학자라는 계층이 생겨나 고통받고 있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리고 마틸다 효과는 과학의 진보만을 고려하는 마태효과가 불러올 수 있는 부정적 측면의 한 극단을 보여준다. 과학의 진보를 위해, 대다수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크기가 작은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한 실험 결과, 이 입자가 장 내막을
통과
할 수 있어 미세플라스틱 입자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장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림프계나 혈류를 통해 세포 내에 쌓일 수 있다"며 "또 플라스틱은 빠른 시일 내 분해되지 않기 ... ...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전문연구요원 선발 기준에 연구역량 항목을 추가하고 영어 성적과 대학원 성적은 ‘
통과
또는 실패’로 판단한다는 게 핵심이다. 연구역량 평가는 서면과 대면 두 단계로 진행된다. 권지은 교육부 학술진흥과 사무관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12층 아나이스홀에서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게임병'을 다스리는 세 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한다는 내용의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안(ICD-11)을 만장일치로
통과
시켰다. 한국을 비롯한 HO 회원국 194개국은 2022년부터 게임중독을 공식적으로 질병으로 인정하게됐다. 보건복지부도 게임중독의 질병 등록을 위해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