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8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같은 양 백금 사용해 수소차 성능 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성능을 2배 높이면 수소차 스택 가격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며 “수소차와 연료
전지
상용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 논문은 미국화학학회 저널 ‘ACS 지속 가능 화학 & 엔지니어링’ 최신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국제학술지 ‘ACS Sustainable Chemistry Engineering’ 최신호에 ... ...
태양광 건물·차량 심미성 높인다…다양한 색 내는 태양
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공정상 어려움이 없이 간단하게 광 필터 기술과 고효율 유색·유연기판 투명박막 태양
전지
를 개발할 수 있다”며 “심미적 특성을 고려한 현대 건축물의 BIPV, 차량 VIPV 시스템을 실현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제2의 초전도핵융합장치 필요…글로벌 협력하려면 거대 인프라 확충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교수가 입자가속기의 일종인 ‘싱크로트론’을 활용한 ‘유기금속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 연구, 김범석 교수 연구팀이 입력 전류가 KSTAR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베네딕트 다우러 영국 다이아몬드 광원 연구소(Diamond Light Source) 박사, 최영관 막스플랑크 고체화학물리연구소 ... ...
[과기원NOW] KAIST, 가상현실 구현하는 나노소재 광학 패터닝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7
유기 소재 뭉침 현상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제작한 대면적 유기 태양
전지
는 58.5㎠의 면적에서도 11.28%의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기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14일 온라인 게재됐다 ... ...
[사이언스게시판] KISA, 2023 아·태지역 사이버공격 대응 공동 모의훈련 실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7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들이 아·태지역 사이버공격 대응 공동 모의훈련 계획을 확인하고 있다. KISA 제공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아시아·태평양 침해 ... 산소 발생을 차단하는 신개념 나노 구조 세라믹 전극촉매를 개발해 가역 고체산화물
전지
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 ...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리튬 금속 배터리 상용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16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표면 안정화 기술을 추가 도입해 리튬 금속
전지
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미티리얼스’ 6월 1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걷기만 해도 전기 생산… '땀' 활용한 스마트 섬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15
섬유와 전력 효율이 낮은 땀
전지
섬유의 단점을 상호보완했다. 마찰전기 섬유 1개와 땀
전지
섬유 36개 (3개 병렬, 12개 직렬)로 구성된 의류용 섬유 두 개를 연결해 배터리 없이 인체의 움직임과 땀만으로 3볼트(V)위치 추적 센서를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단순한 코팅 공정과 직조 ... ...
'우주 원자력' 경쟁 본격 시작됐다...한국도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9년 영국 원자력연구소와 우주용 원자력
전지
개발을 위한 연구협력을 맺었다. 지난해부터는 항우연과 원자력연을 중심으로 원자력 우주 로켓 개념 연구를 시작했다. 현재까지 나온 개발 방향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고 독자 ... ...
[과기원NOW] UNIST, 전극재료 ‘불화탄소’ 안전 제조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0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장부재 연구원. UNIST 제공. ■ 이차
전지
등 다양한 전자기기 전극재료에 사용할 수 있는 불화탄소를 안전하고 손쉽게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0일 백종범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테프론과 흑연을 반응시켜 ... ...
[과기원NOW] KAIST, 차세대 연료
전지
용 초고성능 '만능 전극'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고효율로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 소재는 차세대 모든 연료
전지
에 적용 가능한데다 700시간 동안 구동해도 문제가 없어 높은 효율성을 갖고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소재에 원자가가 높은 이온(Ta5+)을 도핑해 불안정한 결정구조를 안정화시켰다. 이를 통해 촉매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