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보
발전
발달
개량
개선
진출
진전
d라이브러리
"
향상
"(으)로 총 1,96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 열혈독자를 만나다! 2013 최연소 서울과학고 합격생 정재훈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소설책, 동화책, 만화책까지 손에 잡히는 대로 읽었다. 이런 책 읽기 습관은 집중력
향상
으로 연결됐다. 집중력은 학교 수업시간에 빛을 발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에도 도움이 됐다. 덕분에 학원이나 과외는 필요 없었다."책은 저의 또 다른 선생님이에요. 학원이나 과외로 배울 수 없는 지식들을 ... ...
내장형 저전력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전력소모를 줄여 사용가능시간을 길게 해 준다. 또한 최근 프로세서 동작속도의
향상
이 정체된 것은 전력 소모가 너무 심한 것이 원인이다. 그런데 내장형 저전력공학을 통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즉, 내장형 저전력공학을 통해서 프로세서의 처리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2 어디에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정확하다. 원자시계는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한 이래 신기술의 발달로 정확도가 꾸준히
향상
됐다. 하지만 세슘원자의 고유진동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성능을 높일 수 없다는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세슘원자시계보다 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없을까. 바로 ‘광시계’가 있다. 광시계가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물이 있는 장소를 기억해야 하고 새끼를 위해 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인지능력이
향상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출산과 육아 경험이 뇌 구조를 바꾸는 현상은 사람에서도 일어난다. 김필영 미국 예일대 의대 박사팀은 지난 2010년 학술지 ‘행동신경과학’에 발표한 논문에서 출산 전과 출산 ... ...
라이벌 보며 채찍질, 멘토에게선 당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결론을 낸 과학고 과제연구를 더 뿌듯해했다. 2학년 때 ‘향기에 대한 고등학생의 성적
향상
’에 대한 연구로 교내대회 동상도 받았다. 연구한 것은 자기소개서에도 썼다. “1학년 때는 과제연구가 뭔지도 잘 모르고 선생님께 주제를 받아서 ‘수질오염과 조류’에 관한 연구를 했죠. 그런데 2학년 ... ...
[9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호르몬이라는 주제를 청소년의 상황에 맞게 학습과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학습 능력
향상
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호르몬이라는 와닿는 주제로 접근했다. 성의 있는 기사는 좋은 정보가 된다. 다소 많은 분량의 기사지만 꼼꼼이 읽어보면 생활 속에서 궁금해 했던 부분을 풀어주고 있으며 호르몬과 ... ...
PART 1. 우리 시대 최고의 자동차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공급한다. 폭발력이 더 커진다. 연료의 폭발력이 높아지면 엔진의 출력(엔진의 회전력)이
향상
된다. 이는 엔진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열 발산을 쉽게 한다.커먼레일엔진(CRDi)은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압축장치와 분사장치를 이용한다. 커먼레일이라는 일종의 철로에 연료를 저장했다가 연소효율이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문제의 전체적인 면을 볼 수 있고. 더불어 다른 전공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능력도
향상
됩니다.” 그렇다고 전통적인 공학과정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중심활동에 뛰어난 학생이 있다면 그들에게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것이다. 물론 다른 분야와 융합연구를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없고 사용자 스스로 기술을 개선할 수도 있다. ④ 이익과 혜택을 가져와 삶의 질을
향상
시킨다.A2 기업이 전해주는 탱크로리차에 담겨진 물은 당장 마을 사람들의 식수 문제를 해결해 줄지 모른다. 하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는 바닷물을 담수로 만드는 기술이 없다. 물을 마시고 싶으면 계속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시나리오를 썼어요. 이렇게 완성된 연극으로 수학을 가르치자 학생들의 성적이 크게
향상
됐어요. 수학에 흥미를 갖게 되자 성적이 오른 거죠.이를 통해 수학이 발전하기 위해선 수학과 다른 학문과의 융합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1998년 뜻을 같이 하는 수학자와 과학자, 예술가들이 모여 제1회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