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하다 이 수열을 발견했다. 토끼가 결코 죽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피보나치가 정의한 토끼 세계의 번식 규칙은 간단했다. 첫 달에는 새로 태어난 토끼 한 쌍만 있고, 태어난 지 두 달이 지난 토끼는 번식할 수 있다. 번식할 수 있는 토끼 한 쌍은 매달 새끼 한 쌍을 낳는다. 어떤 달에 토끼의 총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러나 그 의식이 ‘느낌’ 혹은 ‘감각질’일지, 아니면 그냥 정보처리 과정의 다른 형태일지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답을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꿀벌이 의식을 가진 존재라는 게 증명된다고 해도, 우리가 꿀벌이 되지 않는 이상 꿀벌이 꿀맛을 어떻게느끼는지는 영영 알 수 없다. 감각이라는 게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 완성에 필수”라고 말했다. 인간의 지능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지능이 발생하는 방법을 알아내면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어진 본 강연에서도 멀게만 느껴지던 첨단 기술이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왔고, 곧 우리의 삶을 바꿀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0에서 3으로 가는 화살표만 없다면 수학적으로 틀리지 않다”며, “다만 exact 수열의 정의에 의해서 집합 E, X, A, C, T가 모두 0이 된다”고 설명했다.그렇다면 과연 디자이너는 exact 수열을 의도해서 디자인한 걸까? 아니면 우연의 일치였을까? 이지선 SM엔터테인먼트 홍보팀 사원은 디자인에 대해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초파리를 이용한 학습과 기억, 노화에 대한 연구를 했으며, 유전자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정의 등 새로운 개념들을 무수히 만들어낸 신경유전학의 대가다.둘의 인연은 민 교수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던 칼텍에서 시작됐다. 민 교수는 “선생님은 내게 탐험가 기질이 있다는 것을 알아챘고, 역시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다양한 역설이 제기됐죠. 이런 논란은 후대의 수학자들이 집합론의 공리를 정교하게 정의하면서 대부분 해결됐습니다. 칸토어는 오늘날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집합론의 아버지로 불립니다.빛으로 힐베르트 호텔을 짓다최근 과학자들은 수학자들이 머릿속에서만 상상해본 힐베르트 호텔을 직접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 새롭고 강력한 등가원리를 바탕으로 중력을 시공간의 기하학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중력의 근본에 대한 물음등가원리에 대한 물음은 궁극적으로 중력과 다른 힘들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현재 우주를 기술하는 힘 사이에는 모순이 있다. 중력은 다른 힘들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뇌기능 발달과 개선, 그리고 뇌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거나 줄 가능성이 있는 음식으로 정의하고 과학적으로 따져봤습니다. 우선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죠.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는 기억력과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의 성분을인정하고 있습니다. 식약처에서 인정한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무엇일까? 지난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면서, 행성을 정의하는 4가지 조건을 새롭게 공개했다. 플래닛 나인이 아홉 번째 행성이라고 인정받으려면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해야 한다.명왕성이 행성에서 탈락한 이유1900년대 초 천문학자들은 해왕성 너머에 아홉 번째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행동을 하는 당사자의 적합도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적합도에도 영향을 끼치는 행동으로 정의된다. 적합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해밀턴은 사회적 행동을 네 가지로 분류했다(다음 페이지 표). 첫째, 당사자의 적합도와 상대방의 적합도를 모두 높이는(+/+) 행동은 ‘상리적(mutually beneficial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