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분석하는지에 따라 가치 있는 정보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다중 모드 초음파 영상진단장치로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정보로는 혈류 흐름, 화학 조성, 물리적 성질, 광음향 정보 등이 있다. 특히 화학 조성과 물리적 성질은 질병의 조기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령 조직의 탄성도를 측정해 암을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기준치를 100배 이상 초과하는 오염수도 있는데, 도쿄전력은 이들이 제거설비의 필터 장치에 문제가 있던 시기에 처리된 오염수라고 설명하고 있다.도쿄전력은 해양 방류를 할 때에는 방사능 물질이 기준치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오염수를 ALPS로 재정화한다는 계획이다. 송진호 한국원자력연구원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에잇!”안내원이 외마디 소리를 지르더니 가면과 홀로그램 장치를 벗어던졌습니다. 그러자 명령서에서 봤던 삐뚤란의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그래! 내가 삐뚤란이다! 이제 어쩔 거냐? 날 잡을 수 있을 것 같으냐?”삐뚤란은 사람들을 밀치고 도망치기 시작했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실험 장치 ‘애트모스’를 제작했어. 애트모스는 대기 성분과 기압을 따라 만들 수 있는 장치야. 연구팀은 일부는 지구의 대기 환경을, 나머지는 화성과 비슷한 대기 환경을 만든 뒤 애트모스에 시아노박테리아를 배양했지. 이후 각각 박테리아의 질량을 비교한 결과, 시아노박테리아가 지구 대기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자동핵종분리장치’를 이용했습니다. 이트륨90만 선택적으로 잡아내는 물질을 이 장치에 설치하고 해수를 통과시키면 이트륨90을 쉽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래 방식대로 하면 2주가 걸릴 일을 단 이틀 만에 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인터뷰 김현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책임연구원 Q.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답이 바로 입자충돌기다. 원자핵이나 원자, 이온 등의 입자를 빠르게 가속해 충돌시키는 장치다. 고온의 환경일수록 물질의 움직임은 빨라진다. 빅뱅 직후와 같이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물질이 엄청난 속도로 움직이면 충돌하는 횟수나 충돌 뒤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 모두 현재 상태와 크게 다를 ... ...
- [하비맨] 달려라, 달려라, 달려라, 미니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잘 굴러가게 하려면 다양한 과학 원리를 이해해야 하거든요. 모터를 고를 때는 회전하는 장치가 1분 동안 몇 번 회전하는지를 나타내는 RPM과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인 토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바퀴는 트랙의 모양에 따른 마찰력과 크기를 생각해 골라야 하죠. 권순성 홍대 타미야 점장은 “똑같은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기반 연산방식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많은 연산을 위해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활용해야 했다. 김 교수는 초차원 컴퓨팅에 기반해 메모리만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을 개발해 소프트웨어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 ‘마이크로(MICRO)’에서 발표했다.김 교수는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죠.우리 회사는 우주선에 설치할 수 있는 토르퍼 장치를 꾸준히 연구하고 있어요. 인류가 화성에 가는 첫 임무에서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용어정리* 시상하부 : 체온, 수면, 물질대사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뇌의 부위 ... ...
-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다 헤졌다. 가장 큰 문제는 ‘분배기’였다. 하나의 영상을 여러 TV에서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다. 분배기 없이 여러 TV를 연결하면 신호가 약해져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희끄무레한 화면이 나타난다. “당시 한국엔 분배기가 없을 때라 일본에서 수입해야 했죠. 하지만 요즘처럼 개인이 수입하는 게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