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다시 눈이 나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22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재료연구소 연구팀이 유리 렌즈와 초점을 맞춰주는 장치가 없어도 선명한 이미지를 만드는 ‘메타 렌즈’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메타 렌즈는 평평하지만, 표면의 나노 구조로 초점을 맞춰요.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를 움직일 필요가 없으며, 레이저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오로라 발생 과정 밝히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에 있는 ‘거대 플라스마 장치(LAPD)’를 이용해 지구 자기장과 입자가 상호작용하는 대기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LAPD는 태양이 방출하는 초고온 상태의 기체인 플라스마를 생성합니다. 연구팀은 알펜파를 이 기기 안에 쏘고 ... ...
- [한페이지 뉴스] 표적 부위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등의 기능을 갖춘 이 장치는 침습 내시경 시술 등에서 열 치료의 가능성을 열었다”며 “장치의 개수와 크기를 조정해서 크기가 다른 병변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몸집 키워 돌아온 종이접기의 물리학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김재경 연구원이 실험에 함께했습니다. 인장 시험기 위에 물체를 올려놓고 장치를 가동하면 위에서 판이 내려와 물체를 지그시 눌러 최대 하중을 측정합니다. 기자가 고생 끝에 만든 바퀴가 인장 시험기에서 30초 만에 납작해지는 걸 보니 눈에서 땀이 나더군요….기자가 사용한 종이는 편집실에서 ...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부었고, 그 결과 5분 만에 잎사귀에 기포가 생기는 현상을 발견했다. 최근에는 공급 장치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기도 한다. 그밖에 수초가 가장 잘 자라는 pH(수소이온농도) 6.8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의 성질을 변질시키지 않는 바위 재료도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질소 ...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박사과정 중인 외국인 학생 수는 한국인 수와 비슷하다.그는 “졸업 후에도 에너지 저장장치 재료 개발 분야를 연구할 것”이라며 “한국이나 미국 등 과학 선진국에서 신진 기술을 섭렵해 인도네시아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유익한 연구를 하는 게 꿈”이라고 포부를 ... ...
- [매스미디어] 분노의 질주 : 더 얼티메이트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파란 불이 반짝이며 앞으로 질주해 나가지. 터보 엔진은 일반 엔진과 달리 과급기라는 장치를 이용해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압축해 전달하기 때문에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어. 영화에서 터보 모드로 움직이는 도미닉의 닷지 차저는 헬리콥터보다 빠르게 이동해. 이런 설정은 가능한 걸까? 실제로 ... ...
- [이달의 과학사] 세계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중요한 실험이었어요.로켓은 연료를 태워 뿜어낸 기체의 반작용을 추진력으로 움직이는 장치입니다. 이미 10세기 중국에서 언급될 정도로 역사가 길지요. 초기의 로켓은 고체 연료를 사용했는데, 한 번 불이 붙으면 연소가 멈추지 않아 원하는 장소로 발사하기 어려웠어요.로버트 고다드는 액체 ... ...
- [긱블x과학동아] 게임 속 지팡이의 화려한 변신, 버블건 & 5연발 리볼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뿜어져 나오는 원리쯤은 긱블의 영상을 애청하는 여러분이라면 모두 알고 있지요?주요 장치들을 모두 장착한 뒤, 외관은 버블건과 마찬가지로 줄무늬를 그려 넣어줬습니다. 하지만 어딘가 좀 투박한 게 역시 미대 출신 숨숨 님의 퀄리티를 따라 잡긴 힘드네요. 그래도 완성품의 무게(0.4kg)가 버블건(1 ...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기존 장치를 개선하는 데 데이터과학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가령 질병을 진단하는 장치를 새롭게 개발하려면 체성분과 심박수, 혈류량 등의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 결정해야 한다. 만약 영상처럼 대량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방식의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진단 정확도를 높이기가 어려워진다.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