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쪽"(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난다.북아메리카성운과 펠리칸성운은 백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데네브의 바로 북동쪽 위쪽에 있다. 친숙한 별 옆에 있는 만큼 매우 쉽게 찾을 수 있다.아마추어 관측가들 사이에서는 이들 성운에 대한 오랜 논란이 있어왔다. 과연 이 두 성운이 맨눈에도 보이는가 하는 것이다.사진에는 성운이 ...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남위 20˚ 이북, 북위 3˚ 이남의 열대해역(熱帶海域)에서 남동무역풍(南東貿易風) 때문에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며, 3대양에 각각 존재한다식물계의 한 문(門) 박테리아와 마찬가지로 핵의 분화가 분명하지 않고 무성생식으로만 분열하므로 식물계에서 가장 원시적인 식물 담수산(淡水産)도 많지만 ...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말한다.엘니뇨는 태평양의 서쪽 적도 해역에 있는 28℃ 이상의 매우 더운 물이 동쪽 적도 해역으로 이동하며 일어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어떤 나라에서는 극심한 가뭄이 들고, 어떤 나라에서는 홍수가 쏟아지는 등 전세계는 기상이변으로 몸살을 앓아야 했다.왜 북반구에만 빙하기가 찾아오나? ...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여진이 따랐다. 첫 지진이 발생하고 약 9시간 반 뒤인 5월 30일 오전 4시 45분 울진 남동쪽 70km 해역에서 리히터 규모 2.0의 지진이, 이날 오후 9시 45분 울진 북서쪽 10km 육지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6월 1일 오후 8시 22분에는 규모 3.5의 3번째 여진이 울진 동북쪽 55km 해역에서 발생했다. 2번째와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바로 아래에 있으며 이곳에서 땅꾼자리 아랫부분을 지나 땅꾼의 동쪽으로 이어져 있다. 동쪽에 있는 부분이 바로 뱀의 꼬리로서 이 부분이 여름철 은하수에 가깝다.뱀자리는 땅꾼자리를 기점으로 해서 찾아간다. 땅꾼자리는 오각형으로 여름철 밤하늘에서 대단히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 ...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과학동아 l2004년 06호
- 아니다.일반적으로 변함없음을 상징하는 황색은 중앙에 놓이고, 발전을 상징하는 청색은 동쪽에, 깨끗함과 순결을 뜻하는 흰색은 서쪽, 부와 따듯함의 상징인 적색은 남쪽, 그리고 암울한 세계를 표상하는 검은색은 북쪽에 위치한다. 사군자인 매화(동), 난초(북), 국(서), 죽(남)도 오행사상의 원리에 ...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과학동아 l2004년 05호
- 2001년 1월 8일은 쌀쌀했던 겨울 날씨였지만 하늘은 무척 맑았다. 날이 점차 어두워지자 동쪽하늘에는 둥근 보름달이 떠올랐다. 평소와 다름없이 밝게 세상을 비추던 보름달은 자정을 넘기면서 점차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달의 한쪽면에 검은 그림자가 점차 드리워져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9일 ... ...
- 사무엘 모스, 유선 통신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04년 05호
- 후 전신선은 이내 필라델피아와 뉴욕으로까지 뻗어갔다. 그 후 4년도 안돼 미시시피 강 동쪽에서는 한 주를 제외한 모든 주가 전신으로 연결됐다. 그리고 반세기만에 모스의 전신기는 세계 각국에 널리 보급돼 전신이 정보교환의 주된 방법으로 자리잡았다.사실 이 시연은 7년 전인 1837년 이미 ...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과학동아 l2004년 04호
- 남중국지괴의 충돌대 경계가 산둥반도의 초고압변성대인 수루조산대를 지나기 때문에, 동쪽의 한반도로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우선 우리가 찾아야 할 것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보고된 바 없는 고압 각섬암이다. 각섬암은 현무암질 암석으로부터 만들어진 변성암으로, 주로 각섬석과 ...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과학동아 l2004년 04호
- 재빠르게 낚아챘다.백악기 전기가 끝날 무렵 경상호수는 빠르게 침강하기 시작하면서 동쪽으로 그 범위를 넓혀나갔다. 이와 함께 다시 화산활동이 서서히 시작됐다. 호수의 크기가 계속 변하자 호숫가의 수면이 계속 변했고 호숫가를 찾는 공룡들이 수분을 함유한 호숫가 퇴적물에 반복해 발자국을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