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d라이브러리
"
동쪽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쉽고 효과가 크다. 내년이 되면 목성은 어디로 갈까? 목성은 앞으로 일년 동안 점차
동쪽
으로 옮겨가서 처녀자리의 옆에 있는 천칭자리로 들어간다. 일 년에 한번씩 목성의 위치를 관측하고 기억해보자. 세월의 움직임이 느껴질 것이다.충이 되는 날을 전후하여 천체망원경으로 목성을 관측해보자.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6년만의 1등성 성식이라고 하겠다.보름달이 지나 하현달에 가까워지는 상태이므로 달의
동쪽
이 밝고 서쪽이 이지러져 어둡다. 그러므로 안타레스는 달의 밝은 쪽에서 잠입해 어두운 쪽에서 나타난다.맨눈으로도 밝은 별이 달 바로 옆에 바짝 붙어 있는 장관을 즐기기에 그리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천정을 거쳐 천의 남극을 잇는 큰 원둘레 또한 적경 8시30분, 즉 127.5°다. 아마 태양은
동쪽
하늘에서 조금 높이 떠 있을 터인데 태양이 있는 곳을 지나가는 적경은 12시다. 당연히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 ...
잃어버린… 아무도 모르계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홈즈의 사무실에 한 장의 편지가 도착했다. 발신지를 보니 대한민국 지리산 삼신봉의
동쪽
기슭 해발고도 800m에 자리잡은 청학동이었다. 편지는 전통 생활을 하며 살고 있는 ‘홍석’이라는 소년이 보낸 것이었다. 내용은 조상대대로 내려온 보물을 도둑맞았다는 것. 보물은‘아무도모르’라는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부근의 단층 일부가 역시 지진으로 오른쪽으로 5m 움직였으며, 66년에는 샌프란시스코 남
동쪽
일부가 파크필드 지진으로 오른쪽으로 움직였다 적출(摘出)한 기관이나 조직을 장시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매액(媒液)으로 사용되는 염류의 혼합용액 그 동물의 혈청 등 체액과 비슷한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된다. 달빛이 있다면 엷은 혜성의 꼬리를 보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혜성은 초저녁
동쪽
하늘에서 떠올라 자정 무렵 하늘 꼭대기에 떠 있다가 새벽이 되면 서쪽으로 진다. 굳이 특정 시간을 잡아 관측하지 않더라도 혜성을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에는 대도시를 벗어난 곳이라면 혜성을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르네오섬
동쪽
상클리랑의 석회암 지대에 매우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물의 종다양성을 지키는 활동을 펼치는 비영리기관인 ‘자연보존’(Nature Conservancy)의 과학자들은 지난 7월 31일부터 9월 3일까지 이 일대의 동굴과 절벽, 함몰지대를 탐사하며 생물종을 수집했다.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말해준다.따라서 갈라파고스 제도의
동쪽
에 있는 섬일수록 나이가 많다. 가장
동쪽
에 있는 산크리스토발섬이 맏형. 하지만 19개 섬 각각의 나이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제주도 면적의 3배가 넘는 갈라파고스 최대 섬인 이사벨라에는 5개의 화산이 있는데, 아직도 활동 중이다. 1995년에는 이사벨라섬 ... ...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현생 인류의 3분의 1도 안되는 신종 인류의 화석이 발견돼 화제다.인도네시아 자바
동쪽
500km에 있는 플로레스섬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지금까지 알려진 인류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화석이 불과 1만80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진 것. 따라서 수만년 전 이곳으로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망원경의 시야 측정이나 극축을 맞출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별이기도 하다. 이 세 별은
동쪽
에서 떠오를 때는 세로로 늘어서서 떠오르지만 서쪽으로 질 때는 옆으로 나란히 늘어서서 지게 된다.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그 모습이 매우 흥미롭다.이 세 별은 모두 이등성이다. 하지만 그 밝기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