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713건 검색되었습니다.
출연연 만나 잘 나가는 중소기업 35곳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결국 공동연구 덕분에 항노화 과정과 원리를 확인한 제이케이랩은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기능
성 제품을 개발 중이다. 2017년 설립된 신생기업인 테라테크노스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재를 개발했다. 테라테크노스는 이 기술로 미국 최대 기술사업화 컨퍼런스인 ‘테크 ...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신경신호도 발생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뇌세포 일부가 활성화됐을 뿐 뇌 자체의
기능
이 되살아난 것은 아니고 의식 같은 고차원적인 뇌 활동은 없었다”며 과도한 의미 부여를 경계했다. 뇌의 연구가 늘어나면서 윤리적 판단이 필요한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이달 25일 미국 연구팀이 뇌 안에 ... ...
스트레스 받을 때 폭식하는 건 인슐린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하게 되는 이유가 높아진 혈중 인슐린 수치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해야 할 일이 산더 ...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서 "이외에도 인슐린이 뇌의 어느 다른 영역에 작용해
기능
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전기연-한전, '스마트변전소' 개발 MOU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항법위성시스템(GNSS)인 글로벌위치확인시스템(GPS)의 시간 정보에 정확히 맞추는
기능
(고정밀 시각동기화)도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고가용성 이중화 통신장치가 안정적인 광역 전력망 구성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스마트변전소 시대를 앞당길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후 이렇게 해독한 정보가 표준으로
기능
할 수 있는지를 세 단계에 걸쳐 검증했다. 먼저 현존하는 세계 유일의 유전체 표준인 미국표준연구소(NIST)의 서양인 유전체 표준과 비교해 99.9% 맞다는 사실을 확인 받았다. 이어 국내 유전체 해독 기업의 해독 ... ...
기능
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GIST 박사과정생도 제1저자로 연구에 참여했다. GIST 제공 연료전지와 가스센서에 쓰이는
기능
성 촉매 소자의 내구성과 성능을 높일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원리가 밝혀졌다. 김봉중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정우철 KA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 ...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투명도도 높였다. 터치 선세를 상층부 에너지 저장패널 바로 아래에 추가해 터치
기능
도 가능하게 했다. 터치센서와 에너지 센서 사이에는 투명도를 높이고자 반고체 전해질을 담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매트를 분리막으로 썼다. 그 결과 풍경과 글자가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투명한 77.4%의 ... ...
옷처럼 세탁 가능한 전자섬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새로운 소자 구조를 제시한 것”이라며 “차세대 웨어러블 컴퓨터나 인체신호 모니터링
기능
을 가진 스마트 의류 등 차세대 웨어러블 제품을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 머터리얼즈’ 12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 ...
항생제에 강해지는 한강의 세균들…내성 유전자 최소 300종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탄생 원인을 항생제에서만 보기도 힘들다. 채 교수는 ”항생제 외에도 항곰팡이
기능
을 하는 항진균제나 제초제 등에도 세균이 내성을 가질 수 있다“며 ”환경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내외 연구성과를 활용해 정책 결정 방향을 고민하는 등 현실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은 뇌세포를 되살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네나드 세스턴 미국 예일대 의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이 4시간 전에 죽은 돼지의 뇌 일부
기능
을 6시간 가량 다시 살리는데 성공한 것을 '뇌 모래시계'에 비유해 표지로 실었다.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의 뇌는 무척이나 예민해서 조금이라도 산소가 공급되지 않거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