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밀 현미경 100년 노하우로 암세포 3차원 영상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가능해졌다. 하지만 기계가 중급렌즈의 편차를 조정하는데는 약 7~8분이 소요돼, 고도
기능
인정자나 현대명공의 수준(2~3분)에는 아직 못미치는 상황이다. 리얼타임 매크로맵 기술을 적용한 현미경을 시연하는 모습이다. 관찰하는 부위가 컴퓨터 화면에 뜨는 동시에 렌즈가 자동으로 움직이며 대상의 ... ...
해조류에게 배운다…세균까지 차단하는 신개념 오염방지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해양생물의 표면 구조를 추가로 연구해 오염방지
기능
을 더 강화할 계획이다. 연구 총책임자인 정 교수는 “수많은 피해자를 낸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경우, 해로운 세균을 없애려 살균제를 사용한 게 문제였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로 기기 표면에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피해 증식한다.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이 면역세포인 T세포와 결합해 T세포의
기능
을 떨어뜨린다(왼쪽). 그런데 면역항암제를 투여하면 이런 결합이 억제된다. T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암세포를 파괴한다(오른쪽). 과학동아(일러스트 정은우) 인체에 침입한 바이러스나 균, 암세포 등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
2019.01.19
나아가 사회 전체에 비인간적인 기준(‘인간이지만 하루 네 시간만 자고도 완벽하게
기능
하렴’)을 퍼트리는 결과를 낳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 적이 있다. 윤리적으로도 타인을 착취하는 것보다 자신을 착취하는 것에 제동이 덜 걸리므로 어쩌면 타인에 대한 비난보다 “뫄뫄도 못하다니 나는 ... ...
빛으로 뇌 유전자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유전자 재조합
기능
을 발휘하지 않다가 빛을 쪼여 주면 마치 스위치를 켠 것처럼 재조합
기능
이 활성화되는 효소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효소에 PA-Flp라는 이름을 붙이고, 활성화될 경우 붉은색 형광을 내는 단백질을 추가로 붙여, 마치 스위치를 켜면 ‘작동’ 표시등이 들어오는 전자제품처럼 ... ...
북한 비핵화 검증기술 개발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신월성 원전 1·2호기의 정상 운전조건을 방해하는 인버터 분전반의 저전압 트립
기능
을 제거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원자력이용시설 건설 및 운영 변경허가안'에 대한 심의·의결과 '7차 신고리4호기 운영허가 심·검사 결과' 보고가 이어졌다. 한은미 원안위 위원(전남대 부총장)은 "기술적인 부분에 ... ...
"작은 싹이지만 인류에겐 위대한 도약" 창어4호, 달에서 목화씨 싹 틔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밝혔다. 중국은 2011년 우주정거장 ‘톈궁 1호’를 발사했지만 2016년 원인을 알 수 없는
기능
정지로 지난해 4월 남부 태평양에 추락했다. 2016년 발사된 톈궁 2호도 2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올해 7월 중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계획이다 ... ...
인슐린 저항성 개선한 새 당뇨 치료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증가했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칼슘 유입이 증가하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과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했다. 실제로 PDK4가 결핍된 생쥐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의 상호작용이 억제되어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기존 당뇨병 치료제는 대부분 ... ...
배터리 충전 없이 체온으로 웨어러블 기기 24시간 작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여러 서비스에 접목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 그룹장은 “다양한
기능
을 가진 웨어러블 기기 회사와 합작해 충전이 필요 없는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하고 기술 이전을 통해 상용 제품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직까지는 세계적으로도 체온을 활용한 열전소자를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FRET 방식은 광유전학을 적용하기 어려웠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여러 단백질의
기능
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small GTPase 활성을 관찰하는 데 필요한 광유전학 기술을 적용하면 FRET 기술에 사용되는 형광물질과의 광 파장이 겹쳐 관찰 대상의 세포 신호 변화를 보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