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거침없이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화두는 환경이었다. 각국의 정상과 기업 CEO들은 어떻게 하면 에너지 효율을 높여 오염을 줄일지 집중적으로 논의했다.지난 5차례 연설에서 한 번도 지구온난화를 언급한 적이 없는 미국의 부시 대통령도 이번 연설에서는 에너지 문제를 거론하며 ... ...
'외과의사 봉달희'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영화 시나리오를 줄기차게 써왔으니 글 쓴 기간만 따지면 10년차 중견작가다. 현재
서울
대병원 의료정보센터 전임의로 있는 강석훈 씨에게 인터뷰를 청했다.어릴 때 꿈이 작가였나?어릴 때는 무엇이 될지 몰랐다. 한 가지 가능성은 ‘스머프로 살아가는 것’일 수 있다.중학생 시절 ‘스머프’라는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교수는 2005년 한국지진공학회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번 지진과 비슷한 규모 5.0의 지진이
서울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강남 지역 대로변의 피해 정도를 가상실험으로 예측했다.지반과 건물 특성을 고려해 실험한 결과 반 이상 파괴된 건물은 약 10%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 ...
삼천리 금수강산 '악'산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되는 특별한 비법은 바로 악산의 재료, 화강암에 있다.명산의 생성원인을 연구하는
서울
대 지구시스템과학과 조문섭 교수는 “설악산 천불동의 뾰족하고 날카로운 능선은 전부 화강암”이라고 말했다. 험준한 악산으로 꼽히는 설악산이나 금강산이 서로 떨어져 있는데도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 ...
곰스쿨, 과학동아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같은 개념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먼저 분화의 개념부터 짚어봅시다.”지난 1월 10일
서울
대치동 그래텍 스튜디오에는 그래텍의 이범 이사와 미래탐구학원의 이정화 강사가 질문과 답을 주고받으며 열강을 펼쳤다.“상처는 며칠 지나면 아물지만 팔이 절단되는 사고를 당하면 재생되지 않지요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싶어서’ 들어간 외고에서 과감하게 이공계 대학으로 진학하기로 결심한 것.그는 1995년
서울
대공대 원자핵공학과에 입학했다. 모든 물질의 기본을 이루는 미시세계를 탐구하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을 것 같아 선택한 전공이었다. 하지만 공대의 학과과정은 근본적인 물음에 답을 주지 ... ...
바퀴가 만드는 사이클로이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비오는 날 빗방울이 기와를 타고 흘러내리는 모습을 유심히 바라본 적이 있다. 마치 기와의 곡면 위에 구슬을 떨어뜨려도 가운데로 모여 굴러갈 것 같다. 실제로 기와의 곡선은 수학에서 다루는 사이클로이드(cycloid)와 닮았다. 킥보드나 자전거 바퀴 위에 붙은 발광 다이오드를 생각해보자. 바퀴가 ... ...
엄마, 아빠 미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버리셨어요.“앞날을 위해서 지금 좀 참아”라고 하시는데 전 이해가 잘 안 돼요. 김지원(
서울
목동초등학교 6학년)제가 책을 보고 있는데 동생이 자기가 먼저 보겠다고 막 우기는 거예요. 그래서 동생과 다퉜는데 저만 혼났어요. 제 생각엔 동생이 먼저 잘못한 거 같은데 말이에요. 누나라고 그냥 ... ...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3명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발생한 각종 중금속 유해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노 교수는 황우석 전
서울
대교수 논문조작 사건의 조사위원장을 맡아 빠르고 철저하게 해당 사건을 조사했다.한국과학재단과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고 동아일보가 후원하는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는 상장과 포상금 1000만원을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희생되는 경우를 줄였다. 동물실험위원장을 맡은
서울
대 수의대 박재학 교수는 “
서울
대에서는 생쥐, 토끼, 개 등 1년 동안 4만마리 가량의 동물을 실험에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지난 5월에는 열린우리당 장향숙 의원이 실험동물 관리 법안을 발의했다. 장 의원은 연구기관에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