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일단 배울 내용을 30% 정도 줄이겠다던 애초의 말과 달리 교과서는 여전히 빽빽하다.
서울
용산고 송교식 교사는 “고등학교 수학의 경우 배울 양은 많은데 교육부가 정한 교과서 분량은 제한적이어서 학생들이 부담스러워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우리나라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처음부터 ... ...
소설가 - 김탁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서울
상암동 디지털 미디어 시티. 미끈하게 올라간 푸른색 건물 3층에 자리잡은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실의 문을 두드렸다. 나무로 만든 고풍스런 전통 양식의 문을 열자 원목으로 짜여진 병풍모양의 가림막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한켠에 쌓인 수백장의 기와 뒤에서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의 김탁환 ... ...
알약으로 치매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과대에 가지 않는다는 얘기다. 그 대척점에 의대가 있다. 최근 포스텍 수석 졸업생이
서울
대 의대에 편입해 과학기술계를 우울하게 한 것처럼 의대는 우수 인력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노릇을 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과 사회적인 지위가 매력이란 것이 의대 쏠림 현상을 바라보는 이들의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생활을 훔쳐보고 싶다는 욕망으로 미니홈피를 클릭했다. 하지만 본성만이 그 이유일까?
서울
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남이 어떻게 사는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에 민감한 집단주의적인 심리도 훔쳐보기에 한 몫 한다”고 주장했다. 사람 사이의 관계가 중요한 문화권에서는 다양한 인간관계를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지난 1월말 전통천문학에 관련된 유물을 새겨 넣은 새로운 1만원권이 발행됐다. 전통 별자리를 돌에 새긴‘천상열차분야지도’(하늘의 모습을 12개의 부분으로 나눠 그린 그림)가 은은한 배경을 이루고 여기에 국보 230호인 혼천시계의 혼천의 부분과 보현산 천문대 1.8m 광학망원경이 들어가 있다.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석사 1979 미국 존스홉킨스대 전기공학박사1984~현재
서울
대 전기공학부 교수 2002~2005
서울
대 공대 학장2003~2004년 전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2006~현재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회장2007~현재 대한전기학회 ... ...
ABC를 알면 꽃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유감스런 말이지만 생물학은 엄밀한 과학이 아니다. 화학이나 물리학과는 달리 생물학에는 간단한 규칙이 별로 없으며 법칙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미국의 저명한 식물학자 윌리엄 버거는 그의 책‘꽃: 꽃은 어떻게 세상을 바꿨나’의 첫 장을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 생명체란 그 다양함이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했다. 미리 준비한 연설 원고를 보란 듯이 바닥에 떨어뜨리고, 당장이라도 평양에서
서울
까지 질주하듯, 오른 주먹을 내질러가며 합의사항을 자랑했다.이번에는 대한민국 최형채 대통령 차례였다. 입가에 미소를 머금은 그 역시 연설 원고를 펼쳤다가 접었다. 눈을 꼭 감은 채 시 한 수를 암송했다 ... ...
탁소리 양 목소리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람에게서 목소리가 사라져 버리는 황당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사건의 주인공은
서울
시 홍제동에 살고 있는 탁소리 양으로, 탁 양은 오늘 아침 8시경 잠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의 목소리가 사라졌단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이번 사건은 황당한 사건만을 주로 맡아 온 어린이 과학동아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볼 수 있다. 북서쪽으로 갈수록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면적이 넓어져 우리나라에서는
서울
을 비롯한 경기도 지역에서 그나마 일식다운 일식을 볼 수 있다.가려지는 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맨눈으로 일식을 관찰하기는 다소 위험하다. 구름이 엷게 끼어 있는 날이라면 맨눈으로 한쪽을 베어 먹은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