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몽의 쓴맛,
몸
에는 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그 결과 C형 간염바이러스가 더 이상 간세포로 퍼지지 못하게 되는 거죠.. 자몽의 쓴 맛이
몸
에 좋은 약효를 낸다니, 약은 입에 쓰다는 옛말이 맞나 봅니다 ... ...
“알록달록~ 컬러 누에로 대상 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함께 누에를 기르고 관찰하면서 먹이에 따라 누에가 더욱 질긴 실을 만들거나 누에
몸
의 색깔이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흥미로운 탐구주제인데다가 학생들이 스스로 관찰해서 알아 냈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 같습니다.”탐구과제 발표는 5학년 신상수, 김영현, 김선화 학생이 함께 ... ...
PART2. 공부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활발해졌고 정서적 재미를 느꼈을 때는 감정을 담당하는 부위가 활발해졌대.*PET :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사진으로 찍을 수 있는 기술. 즉 공부할 때 뇌에서 생각하고 이해하고 기억하는 부위가 더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①번 같은 인지적 재미를 느끼면서 공부를 하는 게 더 좋다는 거지.따라서 ... ...
피부에서 산소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증명된 셈이다.존슨 교수는 “기존 운동선수들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몸
에 적혈구를 추가로 주입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해 왔다”며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산소 감지 세포의 원리를 좀 더 연구하면 운동선수에게 도움이 되는 특별한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얼 스테트만 박사 실험실을 찾아간 이 교수는 그 뒤 2005년 귀국할 때까지 35년을 NIH에
몸
담게 된다.이 교수는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에 걸쳐 ‘포스포리파제 C’라는 효소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한 일련의 논문을 ‘사이언스’나 ‘네이처’ 같은 일류 저널에 줄줄이 발표하면서 유명해졌다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대로라면 젊은 아내 옆에서 백발노인이 될 자신을 떠올리며 다시 괴로워한다. … 순간
몸
을 기대려던 벽이 흐물흐물해지며 암흑의 심연으로 빠진다. 이때 아내가 흔드는 바람에 꿈에서 깨는 현우.”2005년에 쓴 단편소설 ‘코마’다. 어디에도 발표한 적이 없는 작품이다. 수술 부작용으로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단절되기 때문에 시각 이외의 위치감각이나 운동감각, 미로감각이 장애를 받게 되어
몸
이 심하게 흔들리고 쓰러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척수로(脊髓癆)와 같은 경우에 뚜렷이 나타난다 종단(終端)을 파동 저항으로 부하한 마름모꼴의 안테나 단파의 송수신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며, 보통 지상 수m의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위성 돔 옆에는 추운
몸
을 녹일 수 있는 방갈로도 있다. 너무 추울 때는 방으로 들어가
몸
을 녹이고 성도(별자리 지도)를 찾으며 담소를 나누다 다시 돔에 돌아가 관측을 계속할 수 있다.니시하리마 천문대 탐방의 백미는 아무래도 지름 2m짜리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일이다. 망원경의 이름은 ... ...
외골격 깨고 나온 잠자리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외골격이 근육을 감싸고 있다. 그런데 외골격은 신축성이 없어 잠자리가 성장을 하려면
몸
을 둘러싸고 있던 예전의 외골격을 벗어내고 새로운 껍질을 둘러야 한다. 근육이 어느 정도 자라면 잠자리는 외골격을 깨고 밖으로 나온다. 이것이 ‘탈피’다. 잠자리의 애벌레는 물속에서 성장하는데 1령,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가져간 생물 샘플들을 돌보느라 눈코 뜰 새 없었다. 그는 “
몸
은 힘들지만 지상에서 애타게 실험 결과를 기다리는 과학자들을 떠올리니 게으름을 피울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350km 상공에서 힘겹게 12일을 보낸 초파리와 세포들이 훗날 한국의 과학 발전에 큰 보탬이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