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뱅뱅~ 돌아가는 놀이기구 타 본 적 있죠?”가고파 군이 고개를 끄덕인다.“그 때
몸
의 움직임이 어땠나요?”“더 빨리 돌아갈수록 자꾸 바깥쪽으로 튕겨 나가려고 했어요. 그래서 꼭 붙잡고 타야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탈 수 있었죠. 그런데 그건 왜요?”“그게 바로 원심력이에요. 원심력은 원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들고 말았어요. 추위를 피할 인디언텐트를 지어라!“어, 추워!”이튿날 아침, 고산 씨가
몸
을 부르르 떨며 일어났어요. 전날 낮에 나무를 하는 동안 땀에 젖었던 내복이 밤이 되자 차가워져 밤새 추웠던 모양이에요. 우주인들은 차가운 눈으로 얼굴을 비벼 세수를 하고 비스킷으로 아침식사를 했어요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0kg이 넘어 그걸로 150인분의 오믈렛을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 만 그 큰
몸
집의 새는 현재 지구상에 없다.코끼리 새 뿐만 아니라 자이언트 육상거북과 피그미 하마도 1970년대 이후 진행된 마다가스카르 숲의 무분별한 벌채로 삶의 터전을 잃고 멸종했다. 마다가스카르의 경제가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논문으로 배우는 생명과학’ 참조)프리온은 세포막 바깥쪽에 붙어 있는 단백질이다.
몸
의 조직 대부분에 분포하는데 특히 신경계와 면역계 조직에 많다. 그렇다면 정상 프리온의 원래 역할은 무엇일까. 1992년 연구자들은 프리온 단백질이 없는 생쥐를 만들었지만 실망스럽게도 이 녀석들은 정상 ... ...
흙에서 깨어나는 매직피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용해 새우를 꺼내서 어항에 풀어주면 된다.매직피쉬는 보통 두 달이 지나면
몸
길이가 2cm가량 성장하고, 이때쯤 수컷의 비늘은 예쁘게 색깔을 드러낸다. 먹이를 자주 줄수록 빨리 자라고, 최대 5cm까지 자란다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등의 연구에 이용하기 위해 근년에 개발된 소형전파송수신기(電波送受信機) 야생동물의
몸
에 검출기(檢出器) · 송신기(送信機) · 안테나를 부착하고 그 수신 전파에 의해 멀리 떨어져 있는 동물의 위치와 움직임 및 저작(咀嚼) · 심박동(心搏動) 등의 행동이나 생리상태도 알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루비 눈이 박힌 악어 두 마리가 목을 감싸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속이 텅 비었고
몸
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세공돼 있다.허공에서 돌아가는 시침 분침까르띠에하면 빼놓을 수 없는 아이템이 바로 시계. 손목시계를 대중화시킨 것도 까르띠에다. 그래서인지 이번 전시에는 시계가 유난히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없다.3. 요일이나 달, 연도가 특정한 위치를 떠올리게 합니까? 예를 들어 ‘9월’은 항상
몸
에서 왼쪽 1m쯤에 존재함.1) 그렇다. 늘 이런 종류의 공간감을 느낀다.2) 아니다. 이런 종류의 연상이 떠오른 적이 없다.4. 소리를 들으면 색상이 느껴집니까? 예를 들어 차의 ‘경적 소리’가 ‘녹색’으로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스펀지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것이 아닌가. 공교롭게도 광우병 소의 뇌는
몸
을 자꾸 비비다가 비틀거리며 죽는 질병(스크래피)에 걸린 양의 뇌와 비슷했다.과학자들은 광우병과 스크래피 모두 변형 프리온 때문에 발병하며 양의 부산물로 만든 동물성 사료를 먹은 소가 광우병에 걸린다는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뇌의 뉴런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뇌신경세포가 혈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이유는 무얼까.
몸
속 산소 중 약 20%를 뇌에서 소모하는데 이는 신체기관 중 최고 비율이다. 뇌에는 혈관이 많은 만큼 산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산소는 뇌의 뉴런을 활성화한다. 그런데 혈관에는 포도당, 아미노산,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