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자동으로 일정 구간의 내중막 두께의 평균을 구한다. 검사하는데 5분도 걸리지 않는다.김
박사
는 “MRI(자기공명영상장치)로도 내중막 두께를 잴 수 있지만, 초음파 검사가 안전하고 검사비용도 적다”며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측정에 응한다면 더 정확한 한국형 참조표준을 만들 수 있을 ... ...
발 없는 소문 힘도 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소문을 더 신뢰했다. 특히 긍정적 소문보다 부정적 소문에 큰 관심을 보였다.소머펠트
박사
는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관찰과 판단보다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며 “이는 소문이 집단의 규범과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981년 생쥐에서 처음 확립했고,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1998년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박사
팀이 처음 보고했다. 이후 과학자들은 이 세포를 분화시켜 우리가 원하는 기능성 세포를 만드는 방법과 이 세포를 이식한 뒤 발생하는 면역거부반응을 극복하는 방법을 찾았다.2000년 호주의 연구자들은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만들어 임상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커스테드
박사
팀은 배아줄기세포관련 생명공학회사인 제론(Geron)사와 함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척수 희소돌기아교세포로 순도 높게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척수신경이 손상된 실험동물에 이 세포를 이식해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실험한다면 위험하다. 이 때문에 실험동물이 중요하다. 포르스만
박사
가 상을 받은 지 50년이 지난 2007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의 영광은 특정 질병을 앓는 ‘맞춤형 쥐’를 만들어 실험할 때 동물을 이용하는 토대를 마련한 미국 유타대 유전생물학과 마리오 카페키(70) 교수,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해 내용을 따라가기 쉬웠습니다.”교육과정을 마친 뒤 그는 KAIST 금융공학연구센터에
박사
후연구원으로 들어갔다. 여기서 다양한 신용파생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과제에 참여하며 금융공학자로 변신했다. 그리고 지난해 한국채권평가에 입사하며 금융업계에 데뷔했다.그는 ... ...
싱글족의 함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가장 큰 요건은 사랑이나 우정처럼 다른 사람과 만들어가는 관계”라고 강조했다. 최
박사
역시 “기러기아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언제나 가족과 연결돼 있다는 느낌”이라고 강조하며 “전화나 화상채팅으로 늘 연락을 하고 필요하다면 과감하게 자녀의 유학을 중단시키거나 부부가 함께 지낼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주저없이 ‘열린 태도’를 꼽는다.현재 다차원분광학연구단에는 석·
박사
과정생이 8명,
박사
후연구원 5명, 인턴연구원이 1명 있다. 혹시 생물학이나 물리학을 전공한 학생이 있는지 묻자 아직 100% 화학과 출신으로 채워져 있단다. 조 교수는 “물리학도는 생물학적 지식이 적고, 생물학도는 물리학과 ... ...
외래종 새가 하와이 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있다는 것. 멸종한 자생종 대신 외래종이 새로운 농부로 활약하고 있는 셈이다.포스터
박사
는 “자생종은 ‘착하고’ 외래종은 ‘나쁘다’는 일반인의 편견을 깨주는 연구결과”라고 강조했다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나는지를 밝혀 비행체를 설계할 때 응용하려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케네스 브루너
박사
는 과일박쥐 비행을 컴퓨터모델로 만들었다. 박쥐가 날개를 펄럭일 때마다 레이저와 정교한 카메라로 그 동작을 빠짐없이 녹화했다. 항공공학 엔지니어인 데이비드 윌리스 교수는 과일박쥐의 두 날개 주변에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