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곧 망원경에 부착해 테스트할 예정이다. 결과가 잘 나와야 할 텐데. 그래야 고대하던
박사
학위를 거머쥘 뿐 아니라 우주에서 별이 탄생하고 죽어가는 과정의 신비를 한꺼풀 벗기는데 일조할 수 있을 테니까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결과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이 달랐다”고 말했다. 또 지난 6월 독일의 랄프 탈레만
박사
팀이 국제저널 ‘행동신경과학’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게임 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뇌파도 정상인과 다르게 나타났다.인터넷 게임 중독은 술, 니코틴, 마약 같은 물질에 의존하는 ‘물질 중독’과 달리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름을 붙이고 미국 국립보건원에 등록했을 때는 열렬한 찬사가 쏟아졌다. 1976년 이호왕
박사
가 유행성출혈열의 원인병원체를 발견해 ‘한탄바이러스’라고 이름 붙인 이래로 한국인이 지은 병명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기는 처음이었다. 그러나 다음부터가 가시밭길이었다. 우리나라에서 CMTX5병을 ... ...
방사성 의약품과 의료기기 사용의 안전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켜졌다. 우라늄과 토륨 같은 방사성원소가 함유돼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이
박사
는 이 소식을 접한 뒤 “앞으로 생활에서 흔히 쓰는 자연방사성 물질의 방사능 표준을 정립할 것”이라고 마음먹었다. 그는 현재 과학기술부의 요청으로 생활 주변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 관리에 필요한 ... ...
티라노는 느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티라노사우루스가 3~4톤이며 시속 60㎞ 이상 빠르게 달렸다고 주장했어요. 그러나 허친슨
박사
는 티라노사우루스가 큰 몸집 때문에 몸을 45도 돌리는데도 2초 이상 걸려 재빠른 먹잇감을 잡아먹지 못했을 것이라고 반박해요. 일부에서는 티라노사우루스가 시체를 먹는 청소부 공룡이라고도 ... ...
홈즈 혜성, 태양보다 더 커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태양보다 더 큰 천체가 나타났다. 미국 하와이대 천문학연구소 레이첼 스티븐슨
박사
팀은 11월 9일 천문뉴스 사이트인 스페이스닷컴을 통해 홈즈 혜성(17P/Holmes)이 갑자기 대규모의 가스와 먼지를 뿜어내면서 크기가 태양보다 더 커졌다고 밝혔다. 홈즈 혜성은 10월 24일 혜성 표면에 생긴 균열 사이로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지능지수에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전체 어린이의 10%에 불과했다. 모피트
박사
는 “특정 유전자가 모유 수유 조건에서 지능을 높이는 것은 지능지수가 선천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 모두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FADS2 유전자가 지능을 높이는 과정에 대해 추가적인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
는 이 내용을 '사물의 혼'(The Soul of Things)이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기체로 변한다. 그리고 이 기체는 불에 산소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구
박사
는 “방화수(水)를 분당 4리터씩 뿌려 불을 끄면 25초가 걸릴 것도, 새로 개발한 약재를 사용하면 17초 안에 진화할 수 있다”며 “물보다 진화 속도가 1.5배 빠르다”고 설명했다.미국이나 호주 같은 나라는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다.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생명공학연구센터 강시용
박사
는 “씨앗을 지난 봄 파종해 기른 결과 콩과 애기장대가 생육초기에 발육이 저하됐으며 난에서는 줄무늬가 나타나는 변이가 있었다”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돌연변이는 대를 거듭할수록 많이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