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된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이렇게 몇 달씩이나 초대형 산불이 이어지면 그 피해는 얼마나 클까요? 열대우림에서 사는 동물들은 뜨거운 열기로 죽고, 연기는 옆 나라까지 퍼져 사람들도 피해를 입는답니다. 지구 ... 적극적인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답니다. 용어정리*μm : 마이크로미터. 1μm은 100만 분의 1m다 ... ...
- [과학뉴스] 블랙홀도 삼시세끼?! 9시간 마다 별 먹는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GSN069 블랙홀에서 뿜어져 나오는 X선을 관측했죠. 그런데 연구팀은 2018년 12월과 2019년 1월, 2월에 걸쳐 GSN069 블랙홀을 관측한 결과, 이 블랙홀이 9시간마다 밝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은하 중심 블랙홀에서 주기적인 밝기 변화가 관측된 건 처음이었지요.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
- 로봇도 만나고, AI 연주도 듣고~! 2019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안에 자리잡고 있지요. 이에 올해 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는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정부출연연구소를 둘러볼 수 있는 투어 프로그램도 마련했어요. 대전 엑스포시민광장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타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을 견학할 수 있답니다. 투어를 원하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우리 형제의 집을 부수고 빨간모자를 괴롭힌 늑대가 범인이야! 틀림 없어.”“에이, 탐정님. 복수심으로 수사하는 거 아니에요. 근거는 있어요?”“그, 그건…. ... 기후를 망치려 했군요!” 용어정리*ppm: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ppm은 1kg의 물에 어떤 물질이 1mg 있다는 뜻이다 ... ...
- 충격! 몇 달째 활활! 아마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있는 걸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충격! 몇 달째 활활! 아마존 산불Part1. 전세계 열대우림이 몇 달째 활활!Part2. 꺼지지 않는 불의 원인은 사람?Part3.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된 산불Part4. 불로부터 지구를 구하라! 도움권춘근(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Herry Purnomo(Scientist at ...
- 꺼지지 않는 불의 원인은 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이것은 사실이지요. 불을 지르는 이유가 뭘까요? “나무가 있는 삼림은 개발하는 데 1만m²당 400달러가 필요하지만, 불 탄 삼림은 30달러면 충분하다.”국제산림연구센터의 해리 푸르노모 박사는 열대우림에 불을 지르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해요. 숲의 거대한 나무를 베어내고 이를 다시 숲 밖으로 ... ...
- 불로부터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발을 위해 고의로 지르는 산불은 1980년대 이후부터 매년 반복되고 있어요. 이대로 가다간 지구에 열대우림이 남아나지 않을 거예요. 초록빛 지구가 새카맣게 변하는 걸 막기 위해 전 세계가 힘을 모으고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불이 크게 번지지 않도록 ... ...
- 33년 만에 사건해결! 과학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날 따라와 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33년 만에 사건해결! 과학수사Part1.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Part2. 실종자 찾는 첨단 기술Part3.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 도움김영삼(경기북부경찰청 검시조사관), 김익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영상미디어연구단 단장), 대검찰청 ... ...
-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DNA를 특정 부분만 복제해 수십만 배로 양을 늘리는 방법이지요. 이 기술을 이용하면 0.1ng(나노그램)의 DNA로도 개인을 알아낼 수 있어요. DNA 조각 안에는 사람마다 반복되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거든요. 따라서 범죄 현장에서 발견한 DNA의 반복 패턴이 용의자 DNA의 반복 패턴과 같다면 범인을 잡을 수 ... ...
- ㅇㅅㅇㅇ···우리 생물에게 우리말 이름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어 이름이 없는 생물들에게 한글 이름을 지어주고 있지요. 작년 11월에도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 3426종에게 새로운 한국어 이름을 붙였다고 발표했어요. 특히 국제적 멸종위기종, 위해우려종, 병해충 등이면서 한국어 이름이 없는 생물에게 집중했어요. 누구나 생물의 이름을 ... ...
이전4504514524534544554564574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