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작점과 끝점, 곡선 모양의 함수 값 등이
정확
한 수치로 기술되어 있는 형태다. 이런
정확
한 수치와 함수를 통해 계산된 도형과 그림들은 인쇄용 고해상도 출력기의 높은 해상도로 그 표현능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있다. 그래픽 파일마다 포맷방식이 다른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그래픽 파일의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최근의 한 식물학자들은 에어랑기 엘리시라고 불리는 마다가스카르 난초의
정확
한 짝짓기 형태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었다.난초류는 모양 크기 색깔에 있어서 믿을 수 없으리만큼 다양한 종이 있다. 난초들은 자웅동화(암수 부분을 동시에 만들어 내는 꽃)이며 그들의 꽃가루는 폴리니아라고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측정할 수 있으므로 두가지 방법에 의한 측정치가 일치되면 그 암석의 연령은 거의
정확
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K-Ar법 : 방사성 원소 ${ }^{40}$K는 ${ }^{40}$Ar으로 붕괴, 밖으로 방출돼 버리나 마그마가 식어서 암석으로 굳은 다음에 생성된 ${ }^{40}$Ar은 화성암 내에 축적되므로 ${ }^{40}$K의 양과 축적된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것인가를 맞추는 테스트도 그 하나가 된다. 남성은 여성보다 표적을 노리는 운동기능이
정확
하다. 가령 무엇을 표적으로 해 맞추거나 투사물을 유도하거나 포착하는 것을 잘 한다. 숨은그림찾기 등. 왼쪽의 단순한 그림이 매우 복잡한 그림 중에 숨겨져 있을 때 이를 찾아내는 테스트에서는 남성이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같은 현상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차량의 축하중이 과다하면 고속 주행에서 요구되는
정확
한 선형을 유지하도록 궤도를 보수 유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다. 이 축하중은 차량의 무게에 직결된다. 그러나 고속에 필요한 견인력을 얻고 또 고속에서도 충분한 안전을 보장하려면 차량의 ... ...
화학- 자연계 모든 물질의 반응물·생성물 평형상태 유지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기체 성분의 개별적인 특성을 조사하는 것만으로는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어렵다.
정확
한 설명을 위해서는 대기중 기체들을 생성시키고 소멸시키는 가역반응에 대해 조사해야 하며 평형상태에서 농도는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것이 필요하다.우리는 저울에서의 평형에 대해서 잘 ... ...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큰 약점은 연합군측이, 이라크군이 보유하고 있는 레이더와 유도탄의 특성뿐만 아니라
정확
한 위치까지 간파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이라크군이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노출됐더라도 레이더작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대방사유도탄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간과한 ... ...
5초만에 주름지수 산출하는 장치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장비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자신의 주름 진행정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
정확
한' 숫자로 나타내주는 장치에 앉기 위해서는 상당한 용기가 필요할 듯하다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프리드만-로버트슨-워커의 우주모델이라고도 하는데 현대의 우주를 기술하는 가장
정확
한 이론인 것이다.세 가지 모델은 그림과 같이 우주에 분포되어 있는 물질의 양에 따라 서서히 팽창하다가 팽창을 멈춘 후에 수축하는 모델, 빨리 팽창하므로 멈추게 할 수는 없으나 일정한 속도로 팽창하는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아니냐고 하지만 자연보호는 자연을 이용하며 보호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생태계의
정확
한 실태파악이 우선해야 한다, 새의 경우 어디서 쉬고 먹고 새끼를 치는지를 알아야 하며 또 새가 부화하고 포란하여 번식할 때는 사람이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고 원교수는 당부했다.박재홍 교수는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