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d라이브러리
"
하나
"(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능이라고 여기는 건 인간중심적 사고”라며 “인간 지능이 수많은 다양한 지능 중
하나
라는 관점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서 잃을 것은, 기껏해야 영화 속에 등장하는 완벽한 휴머노이드를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정도다. 인간과 동물과 기계의 지능은 분명 차이가 있지만, 지적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는 사진을 전송할 때 이것을 여러 개의 픽셀로 쪼개 정보를
하나
씩 처리합니다. 그런데 광컴퓨터는 모든 픽셀 정보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방금 한 분이 광컴퓨터를 어디 가면 살 수 있냐고 질문을 주셨어요. 저희 회사가 있는 서울 용산 전자상가에서도 광컴퓨터는 ... ...
마법의 생물, 달팽이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우크라이나의 자연사진작가 비아체슬라브 미센코는 달팽이를 '마법의 생물'이라고 표현한다. 부드럽고 고무줄 같은 몸만 신기한게 아니다. 감탄스러 ... 길게 늘어뜨려 먼 거리를 훌쩍 뛰어넘기도 한다. 무거운 집을 매달고 있는 데도 힘든 기색
하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호기심이 많다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부르는 어떤 기자가 1894년에 쓴 글로 시작한다. 그는 어떻게 시간과 공간을 넘어
하나
의 신화가 될 수 있었던 걸까.테슬라는 미국이 아닌 동유럽 세르비아 출신이다. 아버지와 삼촌은 모두 세르비아 정교회의 성직자였고 여기에 영향을 받은 그 역시 독실한 신자였다. 오스트리아에서 공학을 배운 이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새’를 정성스럽게 보살펴요. 그리고 ‘이 새’는 은혜를 보답하기 위해 흥부에게 박씨
하나
를 물어다 주지요. 많은 친구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이 새’는 바로 제비예요. 그런데 많은 새 중에서 왜 하필 제비가 나오는 걸까요? 제비의 습성을 알고 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거예요!사람이 사는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점(구름)에서 절연파괴가 처음 일어나고, 땅까지 번개가 퍼져나간다고 생각했다. 이때 점
하나
에서 옆에 있는 점으로 번개가 움직일 확률을 계산했다.연구팀은 절연파괴가 일어나는 점의 전위를 0, 땅에서의 전위는 1로 가정했다. 그리고 이 조건대로 ‘라플라스 방정식’을 풀어 격자점마다 전위를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보면 옆에서 그린 듯하죠. 도대체 어딜 보고 그렸는지 감이 안 잡히는 여인도 있어요.
하나
의 시선만으로는 볼 수 없던 세상의 다른 모습을 보여 주지요. 이렇듯 물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다양한 시선에서 그리는 입장을 큐비즘이라고 한답니다.큐비즘 덕분에 전 오래된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수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이중나선구조일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알아냈다. 두 가닥이어야만
하나
가 망가졌을 때 유전정보를 지킬 확률이 높아진다. 기하학적으로 보면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해 이중나선이 나뉘었다가 다시 붙을 때 엉키지 않는다.이렇게 수학은 생명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정보를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설명을 이어갔다.“맞아요. 수박과 같이 둥근 도형을 효율적으로 쌓는 방법은 둘 중에
하나
죠. 수학적으로 더 효율적이라고 증명된 건 아래층에 3개를 놓고 그 가운데에 수박을 쌓아 올리는 방법이에요. 과일 파는 상인들은 경험을 통해 누구나 알고 있는 방법이지만, 이것을 수학적으로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메르스와는 다르게 비말보다는 배설물로 감염된 사례가 더 많다. 메르스도 배설물이
하나
의 감염 경로로 추정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감염 사례는 없다. 또 다른 원인은 홍콩의 배수시설이다. 건물 안에는 공공 하수도에서 나오는 유해한 가스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U자 모양의 트랩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