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브릭 하나도 정밀하게 계산해서 만든 작품이라고 생각하니, 모든 게 새롭게 보인다. 이제 겨우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겠다 싶었는데, 아뿔싸…. 이번엔 더 어려운 주제다. 뭐? 브릭이 전문 연구에도 활용된다고?! 조각을 모아 창작품을 만드는 브릭의 기본 정신은 수학과 비슷하다. 영국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관계입니다. 복잡한 모양의 넓이를 구하는 적분과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미분이 하나로 만난다는 뜻입니다. 수학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고, 이를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라고 합니다.미적분, 누가 원조야?미분과 적분이 환상의 파트너라는 걸 처음 깨달은 사람은 영국의 뉴턴과 독일의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지름이 10~150μm 정도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물과 공기가 다시 분리된다. 결국 거품이 하나둘씩 터지면서 사라진다. 심한 경우에는 거품 요리를 그릇에 담는 과정에서 무너져버릴 수도 있다. 거품이 잘 터지는 건 거품 주변에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거품 바깥에 있는 주변 공기는 안으로 밀어내고,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사람이 에드윈 허블이다. 우주론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법칙 중 하나인 ‘허블의 법칙’을 발견한 사람으로, 허블망원경을 비롯해 허블상수, 허블시간 등 곳곳에 이름이 붙어있다. 하지만 우주론의 거대한 성과를 이뤄내기 위해선 많은 덜 유명한 사람들의 노력이 모여야 했다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정치지도원이었던 어거스틴 프레신은 이 화석을 프랑스로 가져가기 위해 머리뼈 하나당 최고급 포도주 600병을 현상금으로 걸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12개나 되는 머리뼈를 손에 넣을 수가 있었다. 화석은 모두 프랑스의 파리국립자연사박물관으로 옮겨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박물관에는 ... ...
- 아리따운 꽃집 주인 ‘꺼끄니 꼬단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데려갔다. 그리고는 꽃에 물을 줘 달라고 요청했다.“이 꽃은 물을 0.5리터 먹으면 꽃잎이 하나 생기는 신기한 꽃이에요. 하루에 꽃잎이 최대 3장까지 생기지요. 현재 꽃잎은 3개가 있는데, 이 꽃을 주문한 고객은 꽃잎이 27개인 꽃을 원해요. 물을 얼마나, 며칠 동안 주어야 고객에게 꽃을 가져다 줄 수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씨앗 하나 얻기 힘들다. 그러나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해 대량으로 난초를 배양하면 잎 하나로 몇 달 사이에 수백 개의 새끼 난을 만들 수 있다. 전형성능은 식물 유전자 변형과 조직배양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형성능 활용 연구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고, 새롭게 전형성능을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뜻이다.공포의 목소리, 비결은 음색무서운 장면을 살리는 또 하나의 요소는 ‘소리’다. 공포영화에 있어 소리는, 특히 주인공의 목소리는 흥행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아닌 게 아니라 공포영화가 대중적인 영화로 사랑 받는 데엔 ‘호러퀸’들의 역할이 컸다. 공포에 ...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온도가 올라간다.그런데 마른장마가 폭염의 모든 원인이라기엔 해결되지 않는 의문이 하나 있다. 하경자 부산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가 2012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1908년에서 2008년까지 100년 동안 서울의 7월 일평균기온은 0.6℃ 증가했다. 헌데 이상하게도 7월 일최저기온은 100년 동안 1.4℃가 올라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940년대에 들어서는 후성발생이 사라지고 후성유전학이 등장한다. 발생학자들은 하나의 수정란에서 출발한 세포가 뇌세포, 피부세포, 간세포 등으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과정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세포 종류별로 맞춤형 프로그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이었다. 문제는 한번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