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융합이 미래다] ① 석학도 못푼 과제… 젊은 과학자들 ‘융합연구’로 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못했다. 이 연구는 항암치료로 인한 피부와 모발 변화를 규명한 것으로는 세계
최초
여서 학계의 큰 조명을 받았다. 강 연구원은 2013년 제4차 세계 유방암 학술대회에서 우수상을, 피부조사학회에서는 우수 연구 성과자에게 특별히 수여하는 ‘앨버트 클리그먼’상을 받았다. 융합연구가 ... ...
사춘기 영양 부실하면 키 안 크는 이유, 성 호르몬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현 교수는 “사춘기 시기 영양 부족이 성호르몬과 성장 신호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최초
로 밝혔다”며 “영양 부족 및 성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성장 장애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1일자에 실렸다 ... ...
식물은 이렇게 늙는다...노화 속도 조절 메커니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죽음을 맞이한다. 국내 연구팀이 식물의 노화에 관계하는 핵심 유전자와 작용 시스템을
최초
로 규명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24일 “애기장대의 노화 속도에 관계하는 유전자를 찾았으며, 이들 간의 발현 조절 과정을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분석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꽃잎과 ... ...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5.23
교수팀이 스펀지와 빵 같은 다공성 셀룰로오스 소재가 액체를 빨아들이는 원리를 세계
최초
로 밝혀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3월 3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이뤄진 섬유질로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이다.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흡수 팽창 과정(왼쪽 사진)과 식빵의 ... ...
새와 숲을 사랑한 경영자 구본무 LG그룹 회장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5.20
이어졌습니다. 구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던 LG상록재단에서 2000년 그림으로 된 국내
최초
의 조류 도감 '한국의 새'를 출간한 것이죠. 4년 간 6억원을 투입했는데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새 450종을 그림으로 세밀하게 묘사한 것이 특징입니다. 기획과 출판의 전 과정에 구 회장이 자문했다고 합니다. ... ...
빅뱅 후 5억년 만에 이미 은하 있었다...133억년 전 초기은하 존재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년에서 3억년 사이에 1세대 별들이 나타났다고 추측되고 있을 뿐이다. 언제 어디에서
최초
의 별이 생겼으며, 그 별들이 형성한 은하가 어떻게 탄생했는지에 대한 과정은 여전히 우주의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그런데 최근 미궁에 쌓인 초기 우주 속 은하 탄생 과정을 알 수 있는 증거가 포착됐다 ... ...
임신 중 초미세먼지, 아이 고혈압 일으킬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GIB 제공 최근 초미세먼지로 대한민국이 몸살이다. 초미세먼지가 호흡기질환은 물론 뱃속 아기에게까지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엘 뮐러 미국 존 ... 초미세먼지를 마시는 것이 태아의 어린 시절 혈압을 높인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보여준
최초
의 연구”라고 말했다. ... ...
스페이스X 재사용로켓 끝판왕 ‘팰컨9-블록5’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5.13
발사 후 착륙을 시도한 34개의 1단 로켓 중 25개(73.5%)를 정상 회수했다. 2016년 4월에는 세계
최초
로 로켓을 해상 바지선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고, 2017년 2월에는 한 번 발사했던 로켓을 다시 발사하는 데도 성공했다. 올해 2월에는 심(深)우주 탐사용 대형로켓인 ‘팰컨헤비’의 1단을 이루는 팰컨9 ... ...
인간의 호흡법은 바다 화산의 극한 미생물에서 유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단백질, 바이러스 등 생체 분자의 ‘스냅샷’을 얻을 수 있다.
최초
의 생명체라할수 있는 극한미생물이 호흡할 때 작용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분자구조가 밝혀지면서 이를 바탕으로한 생명체의 에너지 생산체계 진화 과정 연구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생물학에서 호흡은 ... ...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05.08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으면 신경세포 안에 ‘타우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 두 단백질 사이의 연결고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