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 수질연구 구심점… 독일 연방지질조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역시 BGR에 근무 중이다. 그는 해저 밑에 담수로 된 지하수 흐름이 있다는 사실을
최초
로 밝혀내 2013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는 등 관련 분야 연구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수자원 연구분야 본부장인 ‘토마스 힘멜스바흐(Thomas Himmelsbach) 박사는 “우리는 1960년대 이전부터 지질조사에 많은 ... ...
식물 에너지 통로 조절 단백질 발견…열매 생산성 40% 증대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제안되어 온 식물 체내의 에너지 수송(분배) 능력과 생산성 사이의 연관성을
최초
로 증명한 것”이라며 “줄기 단백질과 목표 유전자들의 체관 발달 조절은 지구 식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다발 식물의 진화에 결정적인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생산성 저하 문제를 ... ...
아리안 6 발사체 조립 현장 가 보니..., 비용은 줄이고 성능은 높이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04
디자인부터 개발, 생산 및 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아리안스페이스는 세계
최초
의 상용위성 발사 회사로, 현재 전세계 상업 발사 시장의 50%를 점유하고 있다. 아리안과 소유즈, 베가 발사체를 통해 550기 이상의 인공위성을 궤도에 발사했다. 최근에는 차세대 발사체인 아리안 6 개발이 ... ...
각막 3D 프린팅 세계
최초
성공, 시각장애인에 ‘빛’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줄기세포 프린팅 후 배양 개인 맞춤형 각막 대량생산 기대 최근 영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
로 사람의 각막을 3차원(3D)으로 프린팅하는 데 성공했다. 각막 손상으로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들의 새로운 치료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체 코논 영국 뉴캐슬대 교수팀은 건강한 사람의 ... ...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06.01
제시카 스파크 영국 엑스터대 물리천문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지구에서 약 2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WASP-107b’의 대기에 헬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일자에 발표했다. 외계행성 WASP-107b의 상상도. 표면 온도는 약 500도로 목성과 크기가 비슷하지 ...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나타났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이궁류 파충류의 조상이
최초
출현한 시기는 트라이아스기인 약 2억 5000만년 전으로 추정해 왔다. 알프스에서 새로찾은 이궁류 파충류의 화석이다.-Italy Trento Science Museum 제공 연구팀은 찾은 화석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 ...
日 후생노동성, 심장 질환에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 세계
최초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후생노동성이 심장칠환에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를 세계
최초
로 승인했다 - 사진 GIB 제공 일본 후생노동성이 심장 질환 환자 3명에 대한 유도만능줄기(iPS) 치료를 승인했다고 네이처 및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만든 iPS 세포를 심장 질환 치료에 적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찾아낸다. 이번 진화 모형은 단백질 기능과 유전, 진화를 한 모델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최초
다”라며 “미래에는 이 연구를 단순한 모델이 아닌 실제 단백질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5월 1일 게재됐다. IBS연구진은 ... ...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
과학동아
l
2018.05.28
주변에 있는 비신경세포들이 운동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
로 밝혀졌다. 별세포는 가바 분비를 통해 소뇌의 활성에 영향을 준다. 사진은 쥐 뇌에서 촬영한 별세포. - GerryShaw(W) 제공 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교세포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윤보은 단국대 ... ...
액체금속 고체될 때 ‘순간 온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즉 이론상으로만 존재했던 금속 고유의 ‘액상선 온도’를 실제로 측정하는 데 세계
최초
로 성공했다. 향후 국제온도표준(ITS-90)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욱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사진) 연구팀은 표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메트롤로지아’ 4월 4일자에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