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차곡차곡 쌓아 결정을 만든 뒤 고에너지 X선을 쏜다. X선은 결정과 충돌하면서 흩어지고 우리는 이 흔적을 측정할 수 있다. 단백질 결정 뒤쪽의 평면에 산란된 모양을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 3차원으로 바꿔 구조를 알아낸다.지카바이러스에도 X선 결정법이 사용됐다. 숙주세포를 활용해 유전정보를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금은 항력 돛을 시험하기 위한 우주범선일 뿐이지만, 발사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우리는 처음으로 우주범선의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미래의 우주범선 개발에 분명 중요한 정보가 될 겁니다.” 지구에서 2광년(18조9천200억 km)이나 떨어진 행성‘JW103683’에 가기 위한 우주범선 파피용은 소설 속의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선명했지만 이 골절이 어떻게 발생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렸다. 우리나라에도 시체농장과 같은 시설이 만들어져 체계적인 연구를 했다면 두개골 하나가 그렇게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진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재구성하는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국은 자타공인 로봇과 의료 기술 강국이다. 이 둘을 융합한 인체 플랫폼화 기술을 연구하기 위한 토양은 이미 훌륭하다는 뜻이다. 최근 국내 로봇공학자와 의료진이 ‘생각대 ...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 3월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사건을 두고, 여러 반응이 쏟아졌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디스토피아를 떠올린 사람도 있고, 인공지능의 현재 수준이 아직 그 ...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 ...
- [기자단 소식] 일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직접 안고 꽤 오랜 시간 동안 쓰다듬어 줄 수 있는 체험이 있어서 매우 좋았습니다.우리나라의 동물원들도 아사히야마 동물원처럼 동물들에게서 냄새가 나지 않고 더 가까이에서 동물들을 볼 수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지요.소금이 물에 용해되면 매우 작은 입자로 나누어져요. 이처럼 물질이 용해되면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 작은 입자로 나누어져 용매에 골고루 섞인답니다.그런데 물에 소금을 너무 많이 넣으면 녹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아요. 이는 어떤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 ... ...
- INTRO 빅데이터가 미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체크할 수 있는 시대. 수명까지 예측해주는 시대. 결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우리 삶 속으로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그 중심에는 빅데이터가 있다. 하지만 정작 빅데이터가 뭐냐고 물었을 때 정확히 대답하는 사람은 드물다. 빅데이터가 도대체 무엇인지 제대로 파헤쳐보자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중요해졌다는 이야기다. 앞으로 점점 더 많은 문제를 데이터로 해결하게 될 것이고, 이는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빅데이터가 바꿔놓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한편으로 걱정되기도 하지만, 무척이나 기대된다. 미래를 만들어나갈 데이터과학자와 앞으로 그 주역이 될지도 모르는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교수를 만났다. 서 교수의 전공은 암호! 암호를 연구하는 교수라니, 간단한 비밀번호조차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방법으로 쓰고 있지는 않을까? 궁금하다면 서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교수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암호를 연구하신다고요?네, 저는 암호화된 상태에서 연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 ...
이전4464474484494504514524534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