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실력과 재미, 독서로 잡는다!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않고 이기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토론! 여기 뜨거운 토론 대결 한 판이 펼쳐졌다. 날카로운 논거와 조목조목 따져들어가는 반박으로 토론장의 열기가 한껏 뜨거워졌는데…. 그런데 토론 배틀의 주제가 수학 책이다. 수학 책으로 어떻게 토론을 벌일 수 있을까?수학 설전, 셈도사는 의로운 ... ...
멥쌀 vs 찹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모두 제거해 배젖만 남긴 것을 흰쌀이라고 부르지요. 우리가 매일 밥으로 지어먹는 쌀이
바로
멥쌀이랍니다. 배젖이 반투명해 쌀알을 모아놓으면 빛이 나요. 멥쌀은 밥으로 지었을 때 비교적 질퍽거리지 않고 담백해요. 녹말 가운데 질퍽거리는 성분인 아밀로펙틴이 찹쌀보다 적고, 담백한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공간 안에 정확히 떨어지게 하는 정도의 정확도와 같다. 엔진의 추력만큼 중요한 기술이
바로
방향을 제어하는 항법기술이다.지구와 소통 위한 통신기술탐사선이 달에 무사히 도착하더라도 안정적인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달에서 수집한 정보를 지구에서 받을 수 없다. 달은 지구까지 거리가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등을 섬세하게 표현하려면 네모반듯한 종이를 접어 곡선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바로
수학이 필요합니다. 선 접기를 할 때 접는 각도를 계산해 자연스럽게 곡선을 만들어야 하거든요. 정확한 표현을 위해선 조금 복잡한 수식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래서 실제로 작업을 할 때에는 컴퓨터 ... ...
세상이 나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불쾌감은 떠오르지 않을 수도 있다.빠져나간 개인 정보가 이용되는 곳은 또 있다.
바로
‘배달’이다. 배달 음식점에 전화를 하면 주소를 말할 필요없이 알아서 집까지 배달한다. 처음 주문하는 곳이라도 아무 문제가 없다. 편리해서 아무도 인식을 못하고 있지만 업체가 어디선가 내 정보를 구해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모르겠어요.생각해 보면 요즘들어 이성에게 관심이 없는 고양이가 늘어나고 있긴 해요.
바로
옆에 발정한 고양이가 있는데도 닭이 소 보듯 보기만 한대요. 인간들 사이에서는 이런 사람들을 보고 ‘초식남’이니 ‘건어물녀’니 하는 별명을 붙이는데 육식 동물인 우리를 ‘초식묘’ 이렇게 부를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월리스’라는 이름이 떠올랐다. 내가 타고 있는 배가 가로지르고 있는 경계 이름이
바로
‘월리스 라인(선)’이다.다윈과 함께 진화론을 만든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 그는 동남아시아에서 8년 동안 연구할 당시 이곳에도 온 적이 있다. 그리고 내가 보는 경계를 기준으로 지도에서는 발리와 롬복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나는 이것이 어떤 궁극적인 단계로, 인간이 사람의 공감과 사랑을 그토록 바라는 까닭은
바로
이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라고 나는 믿게 되었다.- 이것은 당신을 위한 이야기입니다.아무래도 자네가 나더러 ‘심안’인가 뭔가 하는 존재를 믿기를 원한다는 기분이 드는군. 새로운 종교에라도 빠진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해로운 폐기물을 만들지 않는다.이들이 5년 동안의 경험을 모아 올해 새롭게 시도한 게
바로
‘작은버섯 집’ 프로젝트다. 지난 5월 제작을 선언해 6월에 완료했다. 캠핑 자동차에 어울릴 법한 작은 크기의 방을 버섯® 재료를 이용해 지었다. 물론 기본 뼈대는 나무를 사용했지만 바닥과 벽 지붕 등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관심이 많던 조엄은 첫 기항지인 대마도에서 눈이 번쩍 뜨이는 ‘물건’을 목격한다.
바로
고구마다.대마도는 산이 많고, 토양도 척박해 곡식 재배가 잘 안 되는 곳이라 식량 대부분을 우리나라와 일본 본토에서 들여왔던 곳. 일본은 이미 1600년대에 중국에서 고구마를 들여와 재배를 시작했고,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