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동차 속에 숨은 과학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갈 때와 오르막 길을 갈 때, 자동차의 속도와 힘을 각각 다르게 맞출수 있을 거야. 이게 바로 기어의 원리라고!3. 휘발유는 어떻게 바퀴를 굴리는 걸까?두 피스톤을 열심히 누르면 자동차의 바퀴가 굴러가지. 휘발유가 연소하면서 생긴 뜨거운 가스가 피스톤을 눌러 주는 거야. 그런데 가만, 피스톤은 ... ...
- [화보] 무한 공간을 창조하다 쿠사마 야요이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이때 거울에 맺힌 상을 ‘허상‘이라고 부르는데, 예를 들어 거울 속에 비친 내 얼굴이 바로 허상이다.만약 거울이 하나면 허상은 한 개뿐이다. 그런데 거울 두 개가 서로 마주보는 순간, 허상이 갑자기 많아진다. 특히, 거울 두 개가 평행이라면 허상은 무한히 반복된다. 아래 그림❷에서 흰 점이 ... ...
- [수학뉴스] 수학 덕분에 더 안전해진 항공기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지난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기 착륙 사고에서 보듯, 항공기는 이착륙할 때 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다. 특히 이착륙하다 ... 수학모델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 수학 모델은 진동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설계에 바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가상 인터뷰] 거품의 일생, 그 비밀이 밝혀졌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힘을 많이 빌렸죠. 그렇지만 컴퓨터가 계산할 수 있도록 수학 모델을 세운 사람이 바로 세이 교수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중규모 모형’을 사용했어요. 다중규모 모형은 여러 단계의 규모들을 동시에 계산하는 방법이에요. 이번 경우에는 가장 큰 규모인 거품 덩어리의 전체 모양부터, 분자 간의 ... ...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인구수를 곱해 구할 수 있어요.예상 고객수를 이용하면 잠재 구매력도 구할 수 있어요. 바로 팔고자 하는 상품의 평균 금액을 곱하면 되죠. 이런 잠재 구매력을 상권 내 경쟁업체 수로 나누면, 예상 매출액을 구할 수 있어요. 경쟁 업체끼리 잠재 고객을 나눠가지기 때문이에요.예상 고객수 = (매장의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제지했다.“잠깐! 무슨 규칙이 있지 않을까?”하루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주사위 면들 바로 위에 두 개의 주사위 전개도가 순서대로 나타났다.“주사위 전개도 같은데… 응? ‘?’가 들어간 면까지 면이 7개네?”“이 전개도로 주사위를 만들 때 ‘?’의 자리에 어떤 숫자가 들어가는지 맞혀야 하는 ... ...
- [수학뉴스] 누워 있는 소가 일어설 확률은?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그런데 최근 발표된 2013년 이그노벨상 중에 눈에 띄게 특이한 수학 연구가 있다.바로 누운 암소가 언제 일어날지 예측하는 통계 모델로, 영국 스카티시농업대 가축제도연구실 버트 톨캄 박사 연구팀이 응용동물학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이다. 이 연구가 이그노벨상 확률부문을 수상했다.연구팀은 ... ...
- [수학뉴스] 돌진하는 테러범을 잡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안전하다.팍킨 왕 교수는 이 장치를 위해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바로 충돌 과정에서 운동에너지와 충격량이 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운전자가 다치지 않도록 계산하는 수학 모델이다. 이 수학 모델을 이용하면 다양한 재료와 구조의 검문대가 자동차와 충돌할 때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두면 어떨까?’란 생각을 하게 됐다. 이런 생각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게 된 것이 바로 육각형 모양의 바둑판이다. 그 모양이 거북의 등과 닮아 ‘거북 바둑’이라는 이름도 있고, 탄소의 나노구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나노 바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이렇게 바둑판의 모양을 바꾸면 게임은 ...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예정이다.한편, 매년 1학기 마지막 주에는 유신고가 주관하는 ‘수학주간’이 열린다. 바로 이때 MAX가 수학주간의 주인공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수학주간 행사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모아 주도적으로 준비해요. 올해 주제는 ‘방정식의 역사’였어요. 데카르트, 가우스 등 중요한 수학자의 이름을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