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풀기
팽압
부어오름
발기
부푼 상태
부풀어오름
비대
뉴스
"
팽창
"(으)로 총 506건 검색되었습니다.
칩 위에 사람 장기 키우는 ‘생체 칩’ 뜬다
2016.03.18
세포 반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며 “렁온어칩을 이용해 허파꽈리가 수축과
팽창
을 반복할 때마다 미세먼지가 모세혈관으로 더 많이 이동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고 말했다. 허 교수팀은 최근 실제 인간의 눈처럼 눈꺼풀을 깜빡이는 곡면 구조의 ‘아이온어칩’과 태아 발달 연구용 ... ...
지구에서 ‘가장 먼 은하’ 관측 성공
2016.03.06
Astrophysical Journal)’ 8일자에 실릴 예정이다. 대폭발(빅뱅)부터 현재까지
팽창
해온 우주.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은하 ‘GN-z11’는 이전까지 가장 멀리서 관측된 천체보다 2억 광년 더 멀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적으로 우주 전체 역사의 97%까지 관측한 셈이 된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 ...
역대 최고 용량 리튬이차전지 개발
2016.02.16
녹인 채 얼렸다가 얼음만 제거하는 ‘프리즈 캐스팅(freeze casting)’ 기법을 이용해 부피
팽창
을 막은 다공성 금속 구조체를 만들었다. 여기에 고용량 전극소재인 산화주석(SnO2)을 코팅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도 성공했다. 이 전극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는 전기용량이 g당 750㎃h ... ...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2016.02.12
고작 수소원자 반지름(5.3×10-13m)만큼 변화시키는 세기다. 검출이 매우 어렵다. 빅뱅·급
팽창
이나 초신성 폭발, 감마선 폭발과 같은 천문학적인 규모의 사건에서 발생하는 중력파가 그나마 검출하기 좋은 후보다. 회전하는 쌍성에서 중력파가 발생해 주위로 퍼지는 모습을 형상화한 모습이다. ...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①
과학동아
l
2016.02.12
다른 방법은 전혀 없다. 따라서 이번에 관측한 우주배경복사의 B-모드가 중력파와 급
팽창
이론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된다.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② ※ 출처: [d라이브러리]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40 ... ...
[2013년]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2016.02.12
더 정확한 거리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우주론에서 우주
팽창
속도를 알아낼 수 있는 수단이라 매우 중요하다. 우주배경복사처럼 빅뱅 때 생긴 중력파를 측정하려는 계획도 있다. 이론에 따르면, 빅뱅 이후의 인플레이션(급격한
팽창
) 모델에 따라 중력파가 달라진다. 이 ... ...
[2003년]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2016.02.12
있다. 따라서 만일 중력파가 LIGO를 통과했다면 L자로 연결된 두 진공관에서 한 진공관이
팽창
하는 동안 다른 진공관은 수축하는 현상을 주기적으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정도의 정밀도라면 근처에 트럭이 지나가도 영향을 받게 될 것은 당연한 일이다. 사실 이 정밀도는 항상 존재하는 ... ...
[1993년]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2016.02.12
이 휘어진 곡면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어떤 법칙을 따라서 역동적으로 수축이나
팽창
혹은 변형과정을 겪는다고 하면, 이러한 변화 일체를 물리학자들은 2차원 공간의 진화, 즉 우주의 진화라 부른다. 이 공간을 벗어나서 홀로서기를 할 수 없는 만물은 곡면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대적 위치가 ... ...
[1989년]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2016.02.12
이 4극성 파동이 지날 때 물체가 변형되는 모습을 보면 (그림 3)처럼 시간에 따라서
팽창
과 수축의 방향이 번갈아 달라진다. 또 이를 중력장의 방향으로 나타내보면 (그림 4)처럼 보인다. (그림 3) 중력파가 통과할 때 물체의 변형(그림 4) 중력파가 통과할 때 중력의 방향 중력파와 전자기파의 비슷한 ... ...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 18~20도, 왜?
2016.01.31
추운 곳에서 갑자기 따뜻한 곳으로 들어오는 일이 반복되면, 혈관도 그때마다 압축과
팽창
을 반복하면서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춥다고 난방 온도를 확 높이기 보다 실내 온도를 함께 낮춰 실내외 온도차를 줄여 주는 것이 건강에 좋다. 우리 몸이 낮은 온도에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