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38건 검색되었습니다.
FDA 승인 1개 뿐인 '간 섬유화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국내 연구진이 간 섬유화에 대한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간 섬유화가 발생하는 장기인 간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간 섬유화에 대한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간 섬유화 치료제는 단 한 개뿐이지만 효과가 제한적 ... ...
"영국선 지역 3곳이 방폐장 유치 자원…비결은 정보 투명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19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한-영 클린 에너지 워크숍'에서 데임 수 이온 영국 국립원자력기술아카데미 명예회장이 인터뷰하고 있다.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확보 계획이 담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 ...
[사이언스영상] 척수 자극해 다시 걸었다
SEIZE
l
2025.03.20
로잔연방공대 제공 척수에 전자칩을 심어 휠체어 타는 환자도 걷게 하는 기술이 나왔다. 척수에서 다리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운동 뉴런에 전자칩으로 전기 신호를 보내 다리가 움직이게 하는 방식이다. 신호를 조정하면 재활 로봇의 움직임에 맞춰 몸이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3월 13일 스위스 로 ... ...
[과기원NOW] KAIST, 범용성 카이랄 나노 페인트 최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왼쪽부터 KAIST 신소재공학과 염지현 교수, 정욱진 석박사통합과정. KAIST 제공 ■ KAIST는 염지현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의료용 나노 소재 표면에 카이랄성을 부여해 항암 치료 효과를 높이는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2㎚(나노미터·10억분의 1m) 두께의 ... ...
찢어져도 10초 내 원상 복구되는 전자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전자피부가 손상된 뒤 복구되는 메커니즘. 전자피부는 손상 시 이황화 결합이 끊어졌다가 다시 결합하면서 자가 회복된다. 김혁 서울시립대 교수 제공. 찢어지는 손상이 발생해도 10초 안에 원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됐다. 안정적으로 오랫동안 사용 가능한 전자피부의 상용화를 ... ...
"빛으로 뉴런 조작해 정신질환 치료…뇌 전극 삽입 뉴럴링크와는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호텔에서 인터뷰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아산사회복지재단 제공 “광유전학은 전극 없이도 뇌 속 신경세포(뉴런)를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중추신경계와 관련한 질환 치료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기술입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매머드 털 가진 털북숭이 생쥐의 진실
2025.03.19
최근 미국의 한 바이오기업이 게놈편집기술로 털북숭이 생쥐(왼쪽)를 만들었다고 발표해 화제가 됐다. 야생 생쥐(오른쪽)와 비교해보면 털이 길고 무성하며 색도 노랗게 바뀌었다. 콜로설바이오사이언시스 제공 6600만 년 전 소행성 충돌로 공룡의 시대가 끝나고 시작한 포유류의 시대가 지금까지 ... ...
박테리아로 유연하고 강한 나일론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를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이 제작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미생물의 유전자를 교정해 나일론과 유사한 강도와 유연성을 갖춘 플라스틱을 만들었다. 분해가 가능한 바이오플라스틱을 이용해 친환경 의류 및 신발 제조 등이 가능해지는 시대에 한발 더 가 ... ...
탄소 흡수력 높인 미생물 나올까…광합성 미생물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국내 연구진이 광합성 미생물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광합성 미생물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했다.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극대화한 광합성 미생물을 개발해 탄소저감 기술 실현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 ...
'이곳'에선 이어폰 없어도 혼자 음악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연구팀이 특수 초음파 발생장치 앞에 메타표면을 배치해 음파가 초승달처럼 휘어지며 교차하는 과정. 두 초음파가 교차한 지점에서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Penn State University 제공 미국 연구팀이 두 초음파가 교차하는 특정 영역에서만 소리가 들리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