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체현
실현
형상화
구상
인격화
전형
뉴스
"
구현
"(으)로 총 2,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발열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최초로 발견했다. 이는 마그논을 이용해 스핀트로닉스와 오비트로닉스를 발열 문제 없이
구현
하도록 한다. 김 교수는 "마그논 오비탈과 그 수송이론의 정립은 아직 세계적으로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독창적이고 도전적인 문제이고 기존 정보처리 기술의 한계를 혁신적으로 뛰어넘는 초저전력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빛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분자 구조를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수준에서
구현
해 섬유에 반영했다. 광범위하게 빛을 산란시켜 내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인 폴리메틸펜텐(PMP)과 단열 능력이 우수한 은 나노와이어(AgNW)를 소재로 사용했다. 이렇게 개발한 섬유로 만든 의복은 사람에게 닿는 ... ...
[푸드테크 뜬다]③ 도축 없이 고기 먹는 시대…배양육 강점은 '안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가공육은 상당히 유사하게 개발할 수 있다”며 “스테이크처럼 있는 그대로의 고기를
구현
하려면 기술이 더 진일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험실 배양이다보니 막연하게 거부감을 갖거나 안전성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가축전염병 위험이 없고 위생적이라는 측면에서 ... ...
[과기원NOW] GIST,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개발 나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13일 밝혔다. 한 교수는 실리콘 포토닉스의 저전력화 기술로 대규모 광학 회로
구현
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은 빛을 이용해 반도체 회로 처리 속도를 높이는 기술로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등의 핵심 기술이다 ... ...
접착제로도 쓰는 만능 '유기물 유리'…물만 있으면 자가치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찾는 노력이 그동안 꾸준히 있었다. 연구팀은 화학적·구조적 다양성 덕분에 많은 기능을
구현
하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선행연구에서 2~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물질 일부가 더 커다란 분자인 단백질보다 물리적으로 더 견고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 유리는 대부분 ... ...
사람 보행 돕는 입는 로봇 개발…"역대급 성능
구현
"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사람이 직접 테스트하지 않고 시뮬레이션만으로 학습한 보행 보조 로봇이 개발됐다. Weibo Gao 제공 1993년 개봉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월레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에서 주인공이자 발명가인 월레스는 반려견 산책 등을 수행하는 만능 '전자바지'를 구해 그로밋에게 선물로 준다. 전자바지처럼 ... ...
홀로그램
구현
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강한 전자기장에 의해 입자에서 방출된 광전자를 이용해 입자 구조를 홀로그램으로
구현
한다. SFPEH는 전자나 X선 회절로 이미징하는 기존 방법보다 시간적·공간적 해상도가 뛰어나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SFPEH에 활용되는 다주기 전자기장(multicycle field)이 파장의 주기 사이에 간섭 현상을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디스플레이를 늘리자 전에 틈새에 접혀있던 OLED가 모습을 드러내며 높은 발광 밀도를
구현
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디스플레이는 늘리기 전 97%에 달하는 발광 면적비가 양쪽에서 30%씩 잡아당긴 후에도 87%로 감소하는 데 그쳤다. 기존 방식으로 만든 디스플레이에서는 똑같이 잡아당겼을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연구팀은 상온의 2차원 자석 표면에 매우 미세한 전압과 자기장을 공급해 스커미온을
구현
하고 전류를 가해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3차원 스커미온과 비교해 제어에 소비되는 전력이 1000분의 1 정도로 감소했다. 크기는 10배 이상 작아져 안정성이나 속도 측면에서도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장재은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가장 왼쪽)와 권혁준 교수(가장 오른쪽) 공동연구팀.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레이저를 활용해 선택적으로 열처리 ... "기존 실리콘 공정과도 호환성이 높다"며 "다양한 소자를 포함하는 차세대 AI 시스템
구현
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