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체현
실현
형상화
구상
인격화
전형
뉴스
"
구현
"(으)로 총 2,818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삼성전자, 대학원생 '시스템반도체 칩 제작' 추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추가 참여하게 된다. 참여 대학원생들은 이론으로 설계한 도면을 실제 웨이퍼에
구현
해 반도체 칩 실물을 만들 수 있다. 실물 칩을 제작하면 설계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증할 수 있지만 최소 3000만원 이상 비용이 소요돼 외부 지원 없이는 칩 제작을 경험하기 어렵다. 박인철 KAIST IDEC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활용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정공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또 기존 트랜지스터와 비교해 높은 온·오프라인 전류비가
구현
됐다. 온·오프라인 전류비가 클수록 트랜지스터가 켜졌을 때와 꺼졌을 때의 상태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전력 효율이 증가하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 연구팀은 개발한 텔레륨 기반 p형 반도체를 n형 ... ...
국제핵융합실험로 지연, 한국 책임?…전문가들 "한국 과실 없다는 결론 나와"
2024.07.22
ITER 장치에서 플라즈마를 진공상태에 가두기 위해 사용되는 진공용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완공 ... 필요하게 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트윈 기술로 가상공간에
구현
된 KSTA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꿈의 에너지' 핵융합 실현 가속화…민관 프로젝트 시동·산학연 혁신포럼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핵융합 디지털 혁신도 추진된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해 가상 핵융합로를 선제적으로
구현
해 핵융합로의 설계 고도화 및 검증 신뢰성을 높인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핵융합로의 표준 운영 기술을 개발한다. 또 사물인터넷(IoT) 기반 핵융합로 운전상태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해 극한 ... ...
오류 적은 차세대 양자컴 실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양자 오류 정정이 필요 없는 위상 양자 컴퓨팅
구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adv.adn8694 ... ...
[과기원NOW] KAIST, 항암제 효과 평가할 종양모델 칩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칩 위의 실험실’인 랩온어칩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복잡한 종양 미세환경이
구현
된 랩온어칩을 개발해 여러 분석 변수가 반영된 약물 스크리닝을 수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오프린팅의 공간적 자유도와 다양한 생체재료 활용도를 이용해 3가지 서로 다른 조성으로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국내 연구팀이 뉴럴링크 같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구현
을 위해 뇌세포에서 나오는 신호를 부작용 없이 읽어낼 수 있도록 부드러운 생체 물질로 미세한 패턴을 새기는 기술을 개발했다. 서울대는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와 김택수 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젤리처럼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금속으로 대체한 리튬금속전지는 이론적으로 리튬이온전지보다 10배 높은 음극 용량을
구현
할 수 있다. 하지만 리튬금속전지의 충·방전 중 리튬의 수지상 결정 성장이 일어나면서 분리막을 뚫고 전지의 단락을 일으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리튬이 도금되면서 부피 팽창이 일어나 배터리가 부풀고 ... ...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화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교수와 전남중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고품질 전자 수송층
구현
을 통한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모듈 개발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널리 쓰이는 실리콘 기반의 1세대 태양전지와 비교해 유연화,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가가 낮아 경제성이 ... ...
핵융합
구현
플라즈마 기술, 산업폐수 극미량 오염물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연구팀이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시연하고 있다. 핵융합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공장 방류수에 있는 규제기준 이하의 극미량 오염물질을 수중 플라즈마로 분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수자원과 수중 생태계 오염 문제의 새로운 해법으로 기대된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홍용철 플라즈마기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