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회"(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일을 막기 위해 미국, 일본, 영국, 인도 등 11개국이 포함된 ‘우주청 간 우주폐기물 조정위원회(IADC)’는 우주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2007년 발표했다. 여기엔 임무 종료 후 지구저궤도에서 우주비행체의 장기 잔류를 제한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지만 철저하게 지켜지고 있지는 않다 ... ...
- [과학뉴스] 호암재단, 6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쓰레기처리장인 프로테아좀이 활성화돼 단백질이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다. 노벨상 위원회는 유비퀴틴의 이런 작용을 ‘죽음의 키스’라고 표현했다.치에하노베르 박사는 지금까지 꾸준한 기초 연구를 강조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도 40년 동안 자신이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던 비법을 이야기할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벤터 연구진의 논문이 발표됐을 때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곧바로 생명윤리위원회에 합성생물학의 이익과 위험에 대한 종합적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그 결과물이 같은 해 12월 발간된 ‘새로운 방향: 합성생물학과 신생 기술의 윤리’라는 제목의 보고서다.1) 이 보고서에서 언급된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황우석 사건 뒤에도 고비는 여러 번 있었다. 광우병 논쟁,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교진추) 활동에 대한 논쟁,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비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조류인플루엔자, 신종플루, 메르스 등 전염병이 돌 때마다 브릭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본의 아니게 ‘연구부정 제보의 메카’가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폭발적인 증가다. 국제층서위원회는 ‘인류세 소위원회’를 따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 소위원회 회원 상당수가 포함된 필진이 ‘사이언스’ 1월 8일자에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플라스틱, 알루미늄, 콘크리트 등 기술화석(technofossils)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위악류라는 분류군 이름을 이제 와서 ‘진짜 악어’로 바꿀 수는 없다. 국제동물명명위원회에는 한 번 지은 이름은 바꾸지 않는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맹수 악어, 초식 악어, 돼지코 악어…가장 오래된 위악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2억5000만 년 전인 전기 트라이아스기 때 등장했다. ...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SNS 사용자는 2011년 12억 명에서 약 3년 뒤 18억5000명으로 1.5배가 늘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따르면 음란물에 대한 SNS 불법정보 시정요구는 2010년에 비해 2013년에는 3배 가까이 늘었다. 디지털 장의사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면서, 한국평판협회는 디지털 장의사가 되기 위한 자격검정을 준비하고 ...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내용을 삭제하도록 했답니다.암세포가 자란 실험용 쥐의 모습.암세포의 크기는 동물윤리위원회에서 정한 허용 크기보다 크면 안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분석결과가 발표됐다. 결과는 진짜 중력파가 아닌 블라인드 테스트 신호였다. 위원회에서 검출 분석소프트웨어를 테스트 하려고 몰래 주입했던 모의 훈련이었다. 실제 중력파원의 물리량을 토대로 컴퓨터가 임의의 시간에 라이고 검출기에 신호를 보내서 진짜처럼 보이도록 거울에 살짝 진동을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교수와 서주태 단국대 의대 비뇨기과 교수는 지난해 한국공공정자은행 설립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준비작업을 거쳐 각계 전문가들과 지난 8월에 정자은행연구원을 설립했다. 정자은행연구원은 앞으로 전국 각 권역별 거점병원에 정자은행을 두고 민간기관이 보관하고 있는 정자를 포함해 정자에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