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회"(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우리가 사용하고 버린 휴대전화나 TV,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을 말해요. 과학기술위원회는 전자쓰레기에서 얻을 수 있는 부품을 골라내 3D 프린터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이 3D프린터로 신발이나 옷, 자전거 등 주변의 학교의 어린이들이 필요한 물품들을 생산해 기부하기 시작했답니다.이 프로젝트를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40, 0.080)빛은 서로 겹칠 수는 있어도, 특정한 색깔의 빛은 빼기가 어렵다. 그래서 국제조명위원회(CIE)는 빛의 삼원색인 RGB대신 자체적으로 가상 삼원색(XYZ)을 만들었다. X와 Y, Z를 각기 다른 비율로 합치는 것만으로도 가시광선에 속하는 모든 색깔을 만들 수 있으며, XYZ를 모두 섞으면 하양이 된다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분위기를 전했다. 많은 이들의 우려와는 상반된 분위기였다. 김 박사는 “JET는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에서 5년 단위로 예산 지원을 받아 운영되기 때문에 2018년까지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2020년 이후로 계획돼 있던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약간은 있었다고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륙붕 확장 영유권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이미 2001년에 대륙붕한계위원회에 자국의 대륙붕 한계를 심사해달라는 서류를 제출했다. 2016년 4월에 보충자료도 완성돼 이번 41차 회의에서 심사에 들어간다.흥미로운 것은 덴마크 정부도 2014년 12월에 심사 요청서를 냈는데 두 나라가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는 세 부모 아이가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2012년 발표했다. 위원회는 “미토콘드리아를 교체하는 것이 사람의 특징을 훼손하지 않는다”며 “배터리가 다 된 카메라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2월에는 세 부모 아이의 체외 수정을 허용하는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개발하기 위한 ‘클린 스카이 프로젝트’를 결성했다. 이 프로젝트는 유럽위원회에서 받은 비용을 친환경 엔진과 신소재, 대체연료 등을 개발하는 협력사에 투자한다. 또 이미 사용된 항공기 부품을 다른 곳에 재활용하는 방법을 고안해 협력사들과 함께 실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0년까지 ... ...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 4월 27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2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정부가 수학으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이용해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수학’은 우리나라에서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이에요.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실었던 논문이 표절로 밝혀져 철회된 사건과 관련해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 및 교원징계위원회가 열린 결과였다. 송유근 학생도 근신 2주 및 반성문 제출 처분을 받았다. 학계는 이번 사건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물리·천문학 분야 연구자들을 인터뷰했다. ... ...
- [수학뉴스] 수영하면 수학 성적이 오른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스포츠 활동을 하면 수학 성적이 오른다는 연구 보고서를 ‘영국 경제, 사회 조사위원회(ESRC)’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2000년과 2001년에 태어난 청소년 6400명을 대상으로 수영이나 댄스 같은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런 뒤 그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기 전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증명했죠.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게 가능해지게 된 거죠.그리고 국가정보원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받은 상은 암호 공모전으로 받은 거예요. 공인인증서와 같은 데 많이 쓰이는 전자 서명과 관련된 내용이었죠. 쉽게 말해 안전한 전자 서명을 만드는 방식이에요.왜 암호학을 선택하셨는지 궁금해요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