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도"(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러분의 의견 잘 들었습니다. 한편으론 이런 생각도 듭니다. 사람들은 우리 동물들 없이는 즐겁게 놀지 못 하는 걸까요?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2018년 7월 7일, ‘동물축제 반대축제(동축반축)’가 열렸어요. 동축반축은 동물이 일방적으로 희생되는 축제는 진정한 ‘동물 축제’가 아니 ... ...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인간의 눈은 여러 종류의 빛 중 가시광선만 인지할 수 있다. 파장이 400~7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가시광선은 빛 중에서도 일부 영역에 불과하지만, 인간은 이것만으로도 총천연색을 볼 수 있고 또 이를 통해 다채로운 감정을 느낀다. 프랑스 출신의 다니엘 뷔렌은 이런 풍부한 색을 줄무늬 ... ...
- [영국유학일기] 현실 대학생이 알려주는 런던 문화생활 즐기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임페리얼칼리지에 입학했을 때 한 화학과 선배가 “1학년 때 학교에서 여는 행사나 문화생활을 많이 즐기라”고 귀띔했다. 실제로 임페리얼칼리지에는 신입생에게 주는 선물 같은 행사들이 많다. 기숙사별로 다양한 파티도 열고, 하이킹을 가거나, 아이스 스케이팅도 함께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 ... ...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_김민형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서울대 조기졸업 1호, 미국 예일대 전액 장학생, 한국인 최초 영국 옥스퍼드대 정교수.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수학자로 손꼽히는 김민형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뒤에는 늘 ‘기록’이 따라다닌다. 그런 그가 또 한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자 박화영의 죽음을 아는가.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조선인 과학자였다. 하지만 그는 1941년 3월 고등학생 때부터 참여했던 연구회가 일제 검찰에게 발각돼 조사를 받던 중 4일 만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혹독한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첫 번째 보물 I 대자연삼백 개의 봉우리로 감싼 카오쌈 러이욧 국립공원 “이제 그만 내려가면 안 돼요?”잠시 쉬는 사이 여기저기서 지친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프라야 나콘 동굴로 가는 길, 2019 태국탐사대원들은 본격적인 일정의 첫 시작부터 만만치 않다는 걸 깨달았다. 보트를 타고 비단 같은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크로스 사이언스_홍성욱 지음, 21세기북스) 1986년 창간 이후 지금까지 과학동아가 이토록 오랫동안 과학을 이야기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 그건 매일매일 전 세계에서 쏟아지는 과학 연구 덕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과학동아가 우리의 일상과 과학과의 연결 ... ...
- [나의 중국 유학일기] 한 학기 27학점 이수, 우한대의 1년 3학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우한대는 1년에 총 3학기가 있다. 3학기제는 올해부터 도입됐다. 1학기와 2학기는 17주지만, 3학기는 4주로 짧다. 3학기가 생기면서 여름방학이 2주 정도 짧아졌다. 중국은 대체로 한국보다 방학이 짧다. 겨울방학도 5주 정도고, 크리스마스도 시험 기간이다. 중국 대학의 과목 분류는 전공 필수, 전공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빛에 대한 연구는 현대 이론물리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빛의 이중성과 흑체복사 스펙트럼 연구에서 양자역학이 탄생했고, 관측자와 무관하게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은 상대성이론의 발견을 가져다줬다. 또 그로부터 흥미로운 시공간인 블랙홀의 존재도 알게 됐다. 빛은 세상을 밝게 해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이들이 날카로운 도구로 자신을 찌른다. 긁고 때리고 기어이 피를 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소위 ‘자해러’의 사진이 끊임없이 올라온다. 유튜브에는 ‘OOO 박고 자살하자’는 노래가 유행가처럼 올라온다. 전문가들은 자해로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가 말로 하기 어렵거나 소용없다고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