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는 마시멜로우로 장난 중? 실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넣은 지 24시간이 지난 후, 카슨 박사는 살균된 물 500μl(마이크로리터. 1μl는 백만 분의 1l)를 마시멜로우 표면에 떨어뜨렸어요. 곰팡이의 번식에 수분이 필요하거든요. 2주 후, 푸른곰팡이(Penicillium commune)를 주입한 마시멜로우 표면에서 곰팡이끼리 얽힌 균사체가 발견됐어요. 방부제가 든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닌텐도 스위치 등 콘솔로도 출시됐으며, 플레이스테이션4엔 한국어 지원을 더해 11월 18일 출시됐답니다. 에밀리 미첼은 게임으로 정신 질환을 치유하려는 비영리 단체 ‘세이프 인 아워 월드’의 지원도 받고 있어요. 그러면서 프랙처드 마인즈의 수익 중 40%는 세이프 인 아워 월드에 기부해 정신 ... ...
- 보이저…태양권을 벗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해왕성을 마지막으로 저, 보이저 2호의 행성 탐사는 끝이 났답니다. 하지만 그 후로도 보이저 1호와 함께 태양계 밖으로 날아가며 관측 자료를 계속 전송했지요. 20년 넘 ... 별이 없는 공간.*AU : ‘천문 단위(astronomical unit)’의 약자로, 태양부터 지구까지의 거리인 1억 4960만km를 뜻하는 단위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등 경사도 많았지요. 올해 탐사한 9종의 생물 중 3종 이상 수료팀은 70팀, 1종 이상은 101팀에 달했어요. 9종을 모두 수료한 13팀은 올해의 시민과학자상을 받았지요. 열심히 참여한 대원들을 칭찬하기 위해 탐사 기록을 최초로 올려준 팀에게 주는 ‘최초기록상’ 등 색다른 상도 마련했어요. 탐사 ... ...
- [과학뉴스]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광자’ 중 일부는 관측 이래 가장 높은 에너지인 1TeV(테라전자볼트)로 가시광선의 1조 배였어요. 전자볼트는 전기를 띤 입자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에너지 단위로, 가시광선 광자는 1~3eV지요. 연구팀은 높은 에너지 광자가 만들어지는 원인도 밝혔어요. 감마선이 폭발할 때 광자와 함께 전자가 ... ...
- [과학뉴스] 태양계 탐사할 수중 로버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브루이를 훈련시키고 있지요.브루이는 길이 1m 정도로, 물에 뜨도록 설계됐어요. 두 개의 바퀴가 있어 얼음 밑에 달라붙어 굴러다니며 탐사하지요. 바퀴 축에 있는 센서와 카메라로 바닷속 산소, 염분, 압력, 온도 등을 측정한답니다.NASA는 브루이가 남극 해류에 ... ...
- 2019 어과동 어워드 …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2019 어과동 어워드 …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Part1. 똥으로 만든 칼, 쓸 수 있을까?Part2. 빵빵! 찍찍이 운전기사 나가신다!Part3. 과학자는 마시멜로우로 장난 중? 실험 중!Part4. 내 과자, 놓치지 않을 거예요!Part5. 똥 사진을 찍으라고? 왜?Part6. 흡혈박쥐 ...
- 똥 사진을 찍으라고? 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해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케네스 히튼 박사는 1997년, 사람의 똥 모양을 7개로 분류한 ‘브리스톨 척도’를 발표했답니다. 브리스톨 척도에 묘사된 똥의 모습은 동글동글한 공 모양부터 길쭉한 소시지 모양, 물처럼 흐르는 모양까지 다양했지요. 건강할 때엔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인간은 가축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해간답니다. 혹시, 미래의 고고학자들은 21세기 사람들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여기저기에 남아있는 귀여운 고양이 사진을 보고, 어쩌면 고양이가 인간을 길들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을까요? 용어정리*인장 : 특정한 문자나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달리 교미를 해 알을 많이 낳았고, 수직으로 된 벽이나 풀을 기어오를 수 있었어요. 1분에 7cm 정도 움직이는데 수조 밖으로 나와 바닥을 기어 다니기도 했지요. 하지만 토종 논우렁이는 수조 벽이나 풀을 잡고 기어오르지 못해 수조 안에서만 생활했고 번식하지도 않았어요. Q 이 실험이 의미하는 게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